“우리 동네 변전소·환기구 안 된다”… GTX 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한강서 윈드서핑·요트·카누 즐기세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산불 예방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일부 시군 늑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공항 승객 “비행기 이착륙 때 창문 덮개 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이슈&이슈] 광양시 ‘사계절 푸른 도시’의 꿈 꽃피울 수 있을까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녹색도시 조성 사업예산 기업 협찬 논란

전남 광양시가 1000만 그루의 꽃과 나무를 심어 꽃과 숲이 어우러진 녹색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을 구상하고 있다. 하지만 이 사업의 예산 일부를 기업 협찬으로 메울 방침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철강·항만도시로 유명한 전남 광양시가 앞으로 4년간 1000만 그루의 꽃과 나무를 심어 쾌적하고 아름다운 녹색·생태도시를 꿈꾸고 있다. 올해 처음 시작한 이 사업으로 탄생한 광양읍 서천변이 시민들의 휴식처가 되고 있다.
광양시 제공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49개 외주 파트너사, 광양컨테이너 부두, 광양항 등이 있는 광양시는 국제 철강·항만도시로 유명한 곳이다. 이 기업들의 영향으로 시는 재정자립도가 31.8%로 전남 지자체 중 가장 높은 부자도시다.

산업도시의 위상을 확보한 시는 기존 이미지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푸른 나무와 꽃들로 둘러싸인 쾌적하고 아름다운 도시를 만들기 위해 나섰다. 철강도시의 딱딱하고 어두운 이미지를 벗어나 사계절 푸른 도시를 조성해 친환경도시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산업도시만으로 고착된 모습을 지역의 단점으로 여기고 있는 광양시가 정원도시의 형태와 어느 만큼 절묘한 화합을 이룰지 관심이 되고 있다.

시는 올해부터 2018년까지 4년간 도시 곳곳에 1000만 그루의 꽃과 조경수를 심기로 했다. 수목 500만 그루·초화 500만 포기다. 1000만 그루 나무 심기는 지난해 6·4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정현복 시장의 주요 공약사항이다. 정 시장은 산업단지가 있는 도시는 꽃과 나무를 많이 심어야 한다는 소신을 갖고 있었다. 수목이 많으면 산소 공급이 풍부해져 공기의 자정력을 갖게 돼 도시경관도 아름다워진다는 생각에서다. 정 시장은 “인근 도시인 여수는 해양도시로, 순천은 정원박람회로 도시를 아름답게 탈바꿈시켰는데 우리 시만 이대로여서는 안 되겠다는 마음도 크게 작용했다”며 “4년 동안 1000만 그루의 수목과 꽃을 심고 나면 도시 분위기가 크게 달라질 것이라는 확신을 실천해 가겠다”고 밝혔다. 우선 올해 150만 그루를 시작으로 내년 220만 그루, 2017년 280만 그루, 2018년 350만 그루를 심을 계획이다.

하지만 이 사업의 가장 큰 난관은 총 300억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시는 국비 82억원, 도비 13억원, 시비 139억원, 기타 66억원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 중 기타 예산이 문제가 되고 있다. 광양제철소 등 기업들의 후원금에 의존한다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지자체가 기업에 예산 부담을 전가한다는 곱지 않은 시선을 해소해야 한다.

아직 시는 광양제철소 등에 공식적으로 사업 협조를 하지 않은 상태다. 그러나 기업체들은 1000만 그루 나무 심기 운동에 적극적으로 공감하면서도 재원 마련을 위한 협조 요청에는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 세계 경기가 위축되면서 기업들의 적자 누적도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기업체들은 “아직 언급은 없지만 시가 자체 예산으로 해결하지 못할 경우 거절하기도 어렵고 시민들에게까지 따가운 시선을 받게 돼 곤혹스러운 상황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전임 시장이 강조해 온 자투리땅에 기업공원을 조성하는 사업이 현 시장 체제에서 소홀해지는 것도 문제점이다. 2008년 ‘도심 숲 가꾸기 위원회’를 발족한 이래 지금까지 22개의 기업공원을 조성하는 등 모범적으로 기업공원을 조성 관리하고 있지만 이들에 또다시 재정적 부담을 줄 게 뻔하기 때문이다.

시는 올해 예산 65억원을 확보해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수목 34만 그루, 초화 116만 포기 등을 심고 있다. 지난 3월과 4월 두 달 동안 꽃잔디만 135만 포기를 심었다. 면적만 4만 4754㎡(약 1만 3562평)다. 꽃잔디 식재지 중 광양읍 고인돌 공원 1840㎡, 광양읍 서천변 장미동산과 연계한 4482㎡, 와우생태공원 앞 2063㎡, 마동근린공원 1342㎡ 등은 벌써 가족 나들이 장소로 각광받고 있다.

시는 꽃길, 꽃동산 조성지의 사후관리는 시민 참여의 사후관리 시스템으로 유도하는 등 지역민 애향심 운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수목을 심는 대신 잡초 제거나 청소, 가지 전정, 물주기 등 관리는 지역 사회단체나 기업들이 참여하는 범시민 운동으로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지역별로 분산해 중마동새마을부녀회와 동광양상공인회, 바르게살기협의회, 중마동통장협의회, 광양읍 이장단 등이 각각 구역을 맡아 관리하는 식이다.

이처럼 공업도시를 탈피하기 위한 바람직한 정책으로 불리고 있지만 시민들과 지역 기관들의 협조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어서 어느만큼 자발적인 호응을 이끌어 낼지도 문제로 꼽히고 있다.

시민들은 시의 1000만 그루 나무 심기 운동에 대해 아직 생소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보여주기의 형식적 운동보다는 시기가 다소 늦어지더라도 장기적인 대책을 세워 연차적으로 시민들의 자발을 이끌어 내는 게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시가 다년생이 아닌 눈에 쉽게 띄는 단년생 위주로 심고 있는 것도 개선해야 할 사항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봄가을 등 계절별로 반복적으로 심을 경우 행정적 관리 소요와 예산 낭비 우려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특히 시가 지난달 읍·면·동별로 평가한 것처럼 연 2회 확인 점검을 한다는 방침도 공무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녹색공간 확충과 아름다운 경관 조성으로 광양에 누구나 찾고 싶은 매력 있는 문화·관광도시 기반이 조성될지 주목된다.

광양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15-05-25 11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