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도 놀러 오는’ 순천만국가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대구마라톤에 세계 엘리트급 17개국 160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마다 청년 범위 들쭉날쭉… 인구구조·재정 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광·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들 캐릭터 마케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공무원이 들려주는 공직이야기] <10> 농림축산식품부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농산물 유통·농촌 복지 돕는 농업인 ‘평생 동반자’

‘공무원이 들려주는 공직 이야기’ 10회에서는 농·축산과 식품산업, 농촌개발, 농산물 유통 등을 담당하고 있는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 소속 공무원을 소개한다. 농식품부의 역할과 업무를 살펴보고, 현직 공무원에게 공직 적응기와 시험 준비 과정 등을 들어 봤다.


농식품부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농업의 경쟁력 향상과 관련 산업 육성, 농촌지역 개발, 식품산업 등 농산물과 식품 관련 업무를 맡고 있다. 1948년 설립된 농식품부는 이후 농촌진흥청, 산림청, 국립종자원 등 소속 기관이 늘어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농식품부는 2실 4국 8관 45과 및 농림축산검역본부·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농식품공무원교육원·한국농수산대학·국립종자원 등 5개 소속기관으로 구성돼 있다. 소속기관을 포함해 전체 3000여명의 공무원이 농식품부에서 일하고 있다.

농식품부 공무원이 되기 위해서는 국가직 5급 공무원시험 행정직군 또는 7·9급 공무원시험 기술직군(농업직렬)이나 행정직군에서 최종 합격의 관문을 넘으면 된다.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 등에서는 농촌지도사를 비롯해 자격증 소지자를 대상으로 한 경력채용도 수시로 이뤄진다. 농업직 공무원은 일반 행정직군과 시험과목 등이 다르고 업무 역시 다르다.

농업직 공무원은 농산물 유통 및 농지 불법행위 단속, 농지 재해대책 등을 담당한다. 일반행정직군이 아닌 기술직군 공무원에 해당하고, 국가직은 주로 농식품부에서, 지방직은 각 지방자치단체 관련 부서에서 일하게 된다.

9급 농업직 공무원은 국어·영어·한국사·재배학개론·식용작물 시험을 치르고, 7급의 경우 시험과목은 국어·영어·한국사·생물학개론·재배학·식용작물학·토양학 등이다. 일반행정직군과는 국어·영어·한국사 등 3과목을 제외하고는 전혀 다른 과목을 치르는 셈이다.

2009년 공직에 입문한 박정은(31·여) 주무관은 현재 농식품부 국제협력국 국제협력총괄과에서 근무하고 있다. 국제협력국은 국제협력총괄과, 농업통상과, 검역정책과, 동아시아자유무역협정과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 가운데 박 주무관이 근무하는 국제협력총괄과는 세계 각국의 농업 및 식품분야 동향과 각 국가와의 협력 업무 및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등을 하고 있다.

박 주무관은 미국, 중남미 및 오세아니아 국가와의 협력 창구 역할을 맡고 있다. 농업협력위원회를 열어 실무급에서 서로 협력할 사항을 논의하거나 상시적으로 주한대사관을 통해 농업 관련 관심 사항을 주고받는다. 이렇게 수집한 정보는 내외부적으로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유하고, 중요 사안은 담당 업무를 맡고 있는 부서에 전달해 우리 현실에 맞게 반영하기도 한다.

박 주무관은 “업무 특성상 외국인과 직접 대화하거나 마주쳐야 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처음에는 영어 대화가 능숙하지 않아 애를 먹었지만 업무를 맡은 이후 시간 날 때마다 공부해 지금은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업무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국가들과의 교류와 협력이 업무의 대부분이다 보니 업무시간은 밤낮을 가리지 않는다. 또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등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외 출장을 가기도 한다.

박 주무관이 출근과 동시에 하는 일은 주한대사관 및 다른 나라들로부터 온 메일과 공문을 확인하는 것이다. 국내 부처뿐 아니라 대사관 및 다른 나라들에도 수시로 농업협력에 관한 사항을 요청한다.

협력요청 메일이나 공문은 내용을 검토해 최대한 빠른 시간에 해당 업무를 맡고 있는 부서에 전달한다. 시간이 날 때마다 인터넷 검색이나 해외 자료 등을 통해 새로운 외국 농업소식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그의 몫이다.

박 주무관은 9급 공무원시험(농업직)에 합격한 뒤 농식품부 소속기관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강원 인제·양구 출장소에서 근무했다. 이후 시간을 아껴 가며 5개월 정도 더 공부해 7급 공무원시험에 합격했다.

9급 이후 다시 7급 합격이라는 보기 드문 경험을 한 박 주무관은 “예상 수험기간을 넉넉하게 잡는 것보다 단시간에 집중력과 에너지를 쏟는 것이 필요하다”며 “하루 7~8시간씩 1년을 공부하는 것보다는 하루 13시간씩 6개월을 준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조언했다.

박 주무관은 9급은 6개월, 7급은 5개월 정도의 준비를 거쳐 합격 관문을 넘었다. 그는 7급으로 임용된 뒤에는 농식품부 소속기관인 농림축산검역본부 강원 속초사무소에서 근무했다.

그는 “공직에 입문한 뒤 곧바로 농산물품질관리원과 농림축산검역본부 지역사무소에서 일하면서 논밭 현장을 두 발로 뛰어다녔다”면서 “예상치 못했던 현장 업무에 처음엔 적응이 힘들었지만, 직접 농민들과 마주하면서 보람을 많이 느꼈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 현장을 뛰어다니면서 쌓았던 경험들이 지금 하고 있는 업무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공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사명감을 꼽은 그는 “합격했을 때와는 달리 발령을 받아 일을 하게 되면 내가 맡은 일은 전체에 비하면 일부분에 지나지 않음을 깨닫게 된다”며 “작은 업무들이 차곡차곡 모인다는 사실을 알고 일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직자로서의 사명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5-09-03 2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