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도지사 “산업현장 인력난 심화...지역 맞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경콘진, 투자사 4곳과 ‘경기 밸류업 인베스트 파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젊은 공무원 챙기기 봇물… “사기 올라” “급여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이순신 장군 애민 정신 본받아야”…현충사 우물물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명인·명물을 찾아서] 파주 ‘짚풀공예 장인’ 장춘금 할머니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밭일 할 때도 ‘짚풀’ 생각뿐 다듬고 새끼 꼬고 염색하고… 씨줄·날줄 엮어 예술을 빚다

짚신, 꼴망태기, 멍석, 똬리 등은 농경민족인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될 생활필수품이었지만 어느새 사라져 갔다. 짚 또는 풀로 만든 생활용구에는 조상의 지혜와 슬기가 담겨 있다.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볏짚이나 들풀로 만들다 보니 품 이외 비용이 들지 않았다. 가볍고 통풍이 잘돼 곡식을 담아 보관하거나 이동하기에 편리했다. 질겨 오래 사용할 수 있고 보관하기도 간단했다. 멍석은 둘둘 말고, 망태는 벽에 걸어 보관했다. 수명이 다해 버리면 땔감으로 쓸 수 있어 친환경적이었다.

우리 조상과 함께해온 이 같은 짚풀용구들은 산업화와 함께 등장한 각종 화학제품에 밀려 이제 대부분 자취를 감췄다. 옛 분위기를 연출하는 카페나 음식점 혹은 농경 관련 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는 ‘추억’이 됐다.


장춘금 할머니가 2007년 6월 강원도 원주시가 주최한 제6회 짚풀공예품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은 대청석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작품 한 개당 20~30일은 족히 걸려

이런 가운데 농촌에서 노인들이 치매를 예방하고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취미화되면서 ‘짚풀공예품’으로 다시 살아나고 있다. 과거 짚풀용구는 가볍고, 질기며, 편리하면 됐으나 짚풀공예품으로 이름이 바뀌면서 ‘예술’이 더해졌다. 경기 파주, 강원 원주, 충남 아산 등 전국 각지에서 공모전도 열려 매년 갈고 닦은 기량을 겨루는 열전이 펼쳐지고 있다.

경기 파주시에서는 월롱면 도내4리 등 7개 마을 주민들이 겨울 농한기를 이용해 독특하고 아름다운 문양의 짚풀공예품을 만들고 있다. 이 마을에서는 2002년 전통짚풀공예 기능보유자로 파주시 무형문화유산 제2호로 지정된 구순의 심경임 할머니에 이어 장춘금(83) 할머니가 대표적이다.


장춘금 할머니가 짚풀로 만든 항아리와 맷방석, 각종 공모전에서 받은 상장을 펼쳐 놓고 앉아 있다.

장 할머니는 59세 때인 1992년 처음 짚풀용구를 만들기 시작했다. “논일을 마치고 나오는데 논둑에 잘 자란 끄렁(곧고 길게 자라는 질긴 잡초의 한 가지)이 무성했어. 하두 이쁘고 탐이 나서 버리기 아까워, 낫으로 깎아서 끌고 온 경운기에 가득 실어다 말렸지. 그리곤 농사일이 끝나 한가한 농한기에 처음으로 맷방석을 만들었어.”

따로 배운 적은 없다. 15세쯤 됐을 때인가, 갓난애를 업고 아버지가 사랑채마루에서 만들고 계시는 것을 어깨너머로 유심히 지켜본 게 전부다.

장 할머니는 당시를 떠올리며 맷방석을 만들어보고, 재떨이 받침도 만들어 보는 등 요령을 익혀 나갔다. 풀에 물감을 입히는 기술까지 터득하면서 마치 수를 놓는 것처럼 아름답고 화려한 무늬도 넣을 수 있게 됐다.

“다듬고 새끼 꼬고 염색하고…작품 하나 만들려면 20~30일은 족히 걸려. 집안일을 할 때도 밭에 나가 일을 할 때도 머릿속에서는 ‘어떻게 하면 더 잘 만들 수 있을까’ 하는 생각뿐이었지.”

그 후 1999년 3월 파주시에서 시 승격을 기념해 ‘짚풀공예품 공모전’을 한다기에 무작정 작은 재떨이 받침을 출품하면서 마을 이장에게 큰소리를 쳤다. “내가 이번에 입상만 하면 3년 안에 대상을 타겠다. 두고 봐라.”

이 대회에서 장려상을 탄 장 할머니는 이듬해와 그 이듬해 잇따라 동상을 받더니 2003년 은상에 이어 2004년 마침내 대상을 거머쥐었다. 그다음 해 11월 농촌진흥청이 주최한 제1회 짚풀공예품 공모전에서는 최우수상을 탔다. 이듬해에는 더욱더 펄펄 날았다. 2월 파주 짚풀공예품공모전 동상, 6월 원주 제5회짚풀공예품공모전 금상, 11월 1일 농촌진흥청 제2회 짚풀공예품공모전 최우수상, 11월 30일 아산 외암민속마을 짚풀문화제 기념 전국짚풀공모전 대상 수상 등 같은 해에 4개 대회에서 최고의 성적을 냈다.

이후로도 매년 2~3개 대회에서 장려상, 은상, 동상, 금상, 우수상, 대상 등을 20회 가까이 더 받는 등 전국 대표 짚풀공예 장인의 반열에 올랐다.

2014년 3월에는 미국 교포들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참석하는 한국민속놀이 행사에서 사용한다며 200만원을 주고 원형 멍석을 구입해 가기도 했다. 3개월 품이 든 아까운 것이었지만 먼 나라에 간 동포들이 고국을 생각하며 사용한다기에 흔쾌히 건네줬다.

●“짚풀공예 활성화·市 지원 늘었으면”

늦깎이 짚풀공예 장 할머니의 성공담을 듣노라면 요즘 젊은 사람에게도 강렬한 동기부여가 된다. “10년여 전 동짓달이었는데, 시어머니 제사를 지낸 며칠 후 재료 준비는 다 해놨는데 어떤 작품을 어떤 문양으로 만들어야 할지 영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 거야. 그러던 어느 날 새벽잠에서 깼는데, 갑자기 번쩍하고 아이디어가 떠올랐어. 얼른 일어나 종이에 문양을 그려 놨다가 조반을 먹고 작품을 만들었지. 무엇이든 결심을 하고 간절히 원하면 꿈에서라도 알려 주나 봐. 그게 바로 2004년 3월 파주 공모전에서 처음 대상을 탄 거야.”

장 할머니는 이제 전국 각지에서 초청장을 받고, 특별 대우를 받는 유명 짚풀공예 전문가가 됐다. 그러나 고향 파주에서 태어나 자랐고 지금에 이르면서 파주시에 섭섭함을 숨길 수가 없다고 한다. “몇 년 전 딸하고 농촌진흥청이 주최한 공모전에 나갔는데 최우수상을 탄 거야. 원주시 등 다른 지역에서는 시 공무원들이 꽃다발을 한 아름 사 갔고 와서 건네주며 축하해주고 격려해 줬는데 우리 지역에서는 아무도 안 온 거야. 딸 애하고 뒷문으로 들어갔다가 뒷문으로 도망치듯 나왔어. 상금의 많고 적음도 중요하지는 않아. 하지만 파주시 공모전 상금이 전국에서 가장 적어. 3개월을 고생해서 만들어 출품해 대상을 받아도 상금이 100만원밖에 안 돼. 다른 공모전의 반의 반도 안 돼. 대상이 그 모양인데 그 아래 입상작들은 오죽하겠어?”

한참을 옆에서 같이 이야기를 듣던 이갑준 이장도 목소리를 높였다. “어르신들이 정말 열심히 노력해서 우리 마을이 짚풀공예로 아주 유명해졌어요. 우리 마을에만 여러 대회에서 대상을 한 번 이상 탄 어르신들이 네 분이나 됩니다. 3년 전까지만 해도 파주시와 면사무소에서 ‘전수관을 만들어 주겠다. 뭐 필요한 거 없느냐’고 하는 등 관심을 갖더니 면장이 바뀌고 시장이 바뀌니까 ‘언제 그런 이야기가 있었느냐?’하면서 아주 입을 싹 닫는 거예요. 사람이 바뀌어도 ‘행정(주민과의 약속)’이라는 것은 신뢰와 연속성이 있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장 할머니는 “전국 각지에서 어렵게 다시 부활한 우리 짚풀문화가 제대로 된 대접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젊은이들이 뒤따라 배우려 하지 않는다”면서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 어머니 아버지의 숨결이 담겨 있는 빼어난 작품을 전시해 후세에 보여주고, 만드는 요령을 가르쳐 줄 기회가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16-02-15 11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