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도 놀러 오는’ 순천만국가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대구마라톤에 세계 엘리트급 17개국 160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마다 청년 범위 들쭉날쭉… 인구구조·재정 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광·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들 캐릭터 마케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명인·명물을 찾아서] 소멸 위기 제주語 연구 ‘외길’… 생활어 정착까지 ‘뚜벅뚜벅’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강영봉 제주어연구소장

청나라를 건국해 한때 중국 대륙을 지배했던 만주족은 지금도 1000만명에 달해 중국 내 ‘제2의 소수민족’ 지위를 지킨다. 하지만 한족(漢族)에 동화되면서 자신들의 언어를 잃어버려 만주어는 거의 사문화됐다.

평생을 제주어 연구에 몰두해 온 강영봉 제주어연구소장. 강 소장은 제주어를 남녀노소 누구나 자연스럽게 구사하는 일상생활 언어로 되살리는 데 연구소가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뉴질랜드의 마오리부족 언어인 마오리어는 1960년대 전통 언어와 문화의 소멸에 대한 위기의식이 퍼지면서 마오리족 어린이들에게 마오리어를 가르치는 ‘언어 둥지’ 프로젝트로 꺼져 가던 마오리어를 되살려 냈다. 마오리어는 현재 뉴질랜드 제2언어로서의 지위를 회복, 모든 공문서에 영어와 함께 적는다.

탐라 문화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제주어’가 소멸 위기에 놓여 있다. 유네스코는 2010년 12월 제주어를 ‘소멸 위기의 언어’로 등록했다. 지구촌에서 사라지는 언어 가운데 제주어를 소멸 위기의 언어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했다. 당시 유네스코는 전문가를 제주에 파견해 현장 방문과 답사, 한국어를 전공하는 전문가와 의견 교환, 각 지역 언어를 담당하는 유네스코 언어 전문가와의 토론 과정 등을 거쳐 이같이 결정했다.

유네스코는 사라지는 언어를 1단계 취약한 언어, 2단계 분명히 위기에 처한 언어, 3단계 심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 4단계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 5단계 소멸한 언어 등 5단계로 분류한다. 유네스코는 지구 상에 6700여개의 언어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가운데 소멸됐거나 소멸 위기로 등록된 언어는 2473개다.

제주어는 추자군도를 제외한 제주 지역 전역에서 쓰는 제주 사람들의 언어로 타 지역과는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을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제주어의 주요 화자는 제주도에서 1950년대 혹은 그 이전에 태어난 사람들이다. 또 전통 고유 어휘가 많이 보존돼 있어 제주어는 ‘고어의 보고’로도 불린다.

이런 제주어를 살리기 위해 ‘제주어 명인’이 나섰다. 강영봉(67·제주대 명예교수) 제주어연구소장이다. 평생을 제주어 연구에 몰두해 온 그는 이달 초 제주시 영평동에 제주어를 조사·연구하고 교육할 제주어연구소를 설립했다.

강 소장은 21일 “유네스코가 제주어를 소멸 위기의 언어로 등록한 것은 부정적인 의미보다 제주어의 가치를 인정해 문화유산으로 인정한 것이며 더 발전적인 제주어 정책을 펼쳐 나가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는 “제주어를 지켜내는 것은 제주의 정신과 문화를 지켜내는 것이며 연구소가 앞으로 그 역할을 선도적으로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 삼양동 토박이인 그는 대학에 다닐 때부터 언어학에 관심이 높았다. 제주대 초대 총장이자 제주어 연구의 선구자인 고(故) 현평효 선생의 지도를 받으며 스승의 뒤를 이어 평생 제주어 연구에 매달리고 있다. 2004년 현평효 선생 유족들로부터 선생이 평생을 바친 귀중한 제주어 연구 자료들을 넘겨받으며 스스로 제주어 보존에 막중한 사명감과 책임감을 느꼈다. 강 소장은 곧바로 선생의 ‘제주도 방언연구’를 초고 삼아 1만 3800여 어휘의 제주어사전 제작에 들어갔다. 이후 10년 가까운 기나긴 작업 끝에 2014년 ‘표준어로 찾아보는 제주어사전’을 내놨다. 이 책은 제주 지역 학생, 교사, 일반인뿐 아니라 제주어를 모르는 외지인들에게 유용한 제주어사전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2014년 10월부터 제주 마을 곳곳을 돌아다니며 제주 사람들의 생활사를 제주어로 채록하는 작업을 시작해 올해 초 ‘제주어 구술 채록 보고서’ 24권을 발간했다.

지난해 2월 제주대를 정년퇴임한 이후에도 제주어 보존 기초 자료 구축을 위해 12개 읍·면을 돌며 채록 작업을 하고 있다. 연말에는 제주어 구술 채록 보고서 12권을 추가로 발간할 예정이다. 그는 “제주어를 일상에서 구사하는 1950년대 이전 출생한 시골 어르신들이 모두 돌아가시면 제주어는 정말 소멸 위기를 맞게 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구술·채록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어연구소는 앞으로 언어권에 초점을 맞춰 제주어를 체계적으로 수집·연구하고 더 나아가 제주어 교육을 통해 제주어가 생활어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언어권이란 자신의 언어를 아무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강 소장은 “제주어를 사용하는 자녀들에게 부모들이 표준어를 쓰라고 강권하는 것도 언어권을 침해하는 것”이라며 “언어권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제주어 보존의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그는 “KT가 2004년 제주 지역 고객 콜센터를 폐지하고 전남에 통합하려 했지만 전남 지역 콜센터 직원의 제주어 소통 문제로 제주 콜센터를 존속시켰다”며 “이는 바로 제주 어르신들이 제주 언어를 사용할 권리, 언어권이 승리한 것”이라고 말했다. 강 소장은 “제주어를 어르신들의 기억 속에서 끄집어내 다시 한 번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되살리는 데 연구소가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제주 사투리나 제주 방언이라는 말 대신 제주어라고 표기하는 것도 그의 일관된 노력이다. 강 소장은 “제주학 연구의 선구자인 석주명 선생이 제주 방언, 제주 사투리 대신에 제주어라는 표기를 처음 사용했다”며 “이는 제주어의 자존감, 나아가 제주의 정신과 문화의 가치를 스스로 높여 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제주 사람들이 제주어로 제주정신을 탐색하고 제주문화를 엿볼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며 “제주어가 사라진다면 본연의 제주정신은 퇴색할 것이며 전통적인 제주문화 또한 본래의 모습을 찾을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주로 귀농 귀촌한 이주민들이 제주어 소통에 애로를 겪는 것과 관련, 강 소장은 “프랑스는 프랑스어를 쓰는 사람을 프랑스인으로 정의한다”며 “제주 이주민들도 제주어를 접하려고 노력하면 제주 토박이들과 마음을 열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강 소장은 “제주어 보존을 위해 제주도가 2008년 마련한 ‘제주어 육성 보존 조례’가 형식에 치우친 면이 없지 않다”며 “자치단체와 지방의회가 관심을 갖고 제주어 보존에 투자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 사진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2016-08-22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