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표 안심소득… 암투병 부모님 돌보는 청년 돕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한해 농사 망치는 야생조수…제주 “피해 보상 신청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젊은 공무원 챙기기 봇물… “사기 올라” “급여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나주 주몽 드라마 세트장 ‘철거안’ 확정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단독] “폭염과 함께 찾아온 불청객… 최악의 가뭄에 농심도 탑니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8월 강수량 평년 10%… 피해 속출

충북 보은군 산외면 오대리에서 밭농사를 짓는 정동기(78) 할아버지는 말라 죽어 가는 작물을 바라보면 속이 시커멓게 타들어 간다. 정 할아버지가 5000여㎡ 밭에 애지중지 가꿔 온 율무는 올해 수확을 포기할 판이다. 지난달 곳곳에서 잎마름 현상이 나타나더니 지금은 밭 전체로 번져 율무가 모두 고사했다, 올해 율무값이 오를 거라는 얘기가 있어 많은 소득을 기대했지만 무심한 하늘 탓에 허탈감만 커졌다.


폭염과 함께 찾아온 극심한 가뭄 탓에 전국 농가가 속앓이하는 가운데 23일 충북 보은군의 한 마을에서 농민이 말라버린 옥수수를 들어 보이고 있다.
보은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충북 보은군이 가뭄이 계속되자 24일 기우제를 지내고 있다.
보은군 제공



정 할아버지는 콩 농사도 피해가 크다. 1500㎡ 밭에 키워 온 콩 가운데 절반가량에서 시듦 현상이 나타난다. 스프링클러를 동원해 콩밭에 물을 주며 사투를 벌였지만 물을 뿌리고 돌아서면 높은 기온 탓에 곧바로 바짝 말라버려 모든 게 허사였다. 정 할아버지는 “60여년 동안 농사를 지었는데 올 여름처럼 가뭄피해가 큰 적은 없었다”며 “잡초 한 포기 없이 밭을 가꾸며 율무를 키웠는데 한숨만 나온다”고 말했다. 이어 “고추는 밭 바로 옆 냇가에서 물을 퍼다 써 피해를 줄였는데 냇가도 물이 바닥이 날까 걱정”이라고 했다.

24일 농림축산식품부와 자치단체 등에 따르면 폭염과 함께 찾아온 극심한 가뭄으로 농작물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농작물이 결실이나 수확기를 앞두고 비가 오지 않아 생장을 멈추거나 말라 죽어 농민들은 죽을 맛이다.

가뭄이 이처럼 심각한 것은 1994년 이후 찾아온 최악의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데다 올 8월 강수량이 30년간 8월 평균 274㎜의 10%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뜨거운 날씨로 찔끔 내린 비가 빨리 증발하면서 엎친 데 덮친 격이 된 것이다.

최근 4주간 경북 평균기온은 26.6도로 평년 25.5도보다 1.1도 높고, 일조 시간(209.5시간)은 평년 164.6시간 대비 27.3% 증가했다. 반면 경북지역 8월 강수량은 35㎜로 평년(235㎜)의 15%에 불과하다. 제주지역은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진 8월 강수량이 애월·한림 13㎜, 한경 45.8㎜에 불과하지만 1일 수분 증발량이 6.1㎜에 달했다. 울산지역은 8월 강수량이 현재 지난해 3분의1 수준인 40.6㎜를 기록하는 상황에서 폭염특보가 20일 넘게 이어졌다. 30년간 8월 평균 강수량이 297㎜과 243.6㎜인 충남 보령과 전남 완도는 이달 들어 비가 단 한 방울도 오지 않았다.

경북지역은 농작물 가뭄 피해 면적이 2052㏊에 달한다. 벼 207㏊, 밭작물 1483㏊, 과수 361㏊ 등이다. 이달 들어 강수량이 17.7㎜에 그친 안동지역의 경우 밭작물 피해만도 290여㏊로 집계됐다. 안동시 서후면 대두서리에서 1만 3200㎡의 콩 농사를 짓는 김상석(56)씨는 “계속되는 폭염과 가뭄으로 꼬투리가 생기지 않는 포기가 수두룩하고 일찍 달린 꼬투리도 떨어져 제대로 수확할 게 없다”며 “수확하더라도 쭉정이가 많아 예년 수확량(4t)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걱정했다. 대두서리에서 농사짓는 60여 농가의 상황도 비슷하다.

밭작물 위주인 제주지역은 피해가 더 심하다. 시듦과 고사피해 면적이 현재 전국에서 가장 많은 1만 1000㏊로 집계됐다. 전남은 16개 시·군 9957㏊에서 논 물마름과 밭작물 시듦 현상이 발생해 가뭄 관심단계에 놓였다. 충남(1300㏊), 충북(250㏊), 울산(80㏊) 등도 피해가 작지 않다. 농식품부 이재천 가뭄대책 사무관은 “10㎜ 정도의 비만 와도 큰 도움이 되는데 그렇지 못해 밭으로 물을 날라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로 농업용수로 사용되는 저수지도 물이 부족해 비상이다.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은 7월 중순 80%대에서 한 달 만에 50%대로 떨어졌다. 경남 하동지역 115개 저수지 평균 저수율은 32.2%에 그쳤다. 평년과 비교하면 70% 수준이다.

자치단체들은 종합상황실을 운영하는 등 가뭄피해 최소화에 총력전을 펼친다. 지역별 강수 상황과 저수율을 모니터링하고, 가뭄발생 예상 지역에 인력과 장비를 투입하고 있다. 기우제를 지내는 자치단체도 생겨났다. 충북 단양군은 차량을 이용해 물을 지원하는 단비기동대 운영에 들어갔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2016-08-25 15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