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도 놀러 오는’ 순천만국가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대구마라톤에 세계 엘리트급 17개국 160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마다 청년 범위 들쭉날쭉… 인구구조·재정 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광·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들 캐릭터 마케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머니테크] ‘리버뷰’ 금강 남쪽· ‘마운틴뷰’ 정부청사 북쪽 잡아라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무주택 공무원들의 블루칩 세종시

“어차피 앞으로 세종시에 쭉 살아야 하니 아파트를 하나 분양받기는 해야죠. 현재 남아 있는 곳 중 어디에 집을 사야 하나 알아보고 다니는 중입니다.”(32세 세종시 거주 공무원 A씨)

아파트가 들어서는 세종시의 모습. 11·3 부동산대책 이후 상승세가 꺾였지만 여전히 세종시는 부동산 업계에서 블루칩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울신문 DB

세종시에서 쭉 공무원 생활을 해야 하는 무주택 공무원이라면 이런 고민을 한번쯤 해봤을 것이다. 젊은 공무원들은 언제 어디에 집을 사느냐에 따라서 노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이야기를 선배들로부터 귀에 딱지가 생기도록 들었을 수도 있다.

일단 집을 사겠다고 생각했다면 시장을 한번 살펴보자. 지난해 정부가 내놓은 11·3 부동산대책의 직접 영향권에 들면서 세종시 아파트값은 상승세가 살짝 꺾였다.

하지만 부동산 업계에서 세종시는 여전히 블루칩으로 통한다. 중앙직 공무원이라고 하는 탄탄한 수요층과 함께 교통·편의시설·학군 등이 빠르게 형성되면서 인근 지역에서 유입 인구가 늘어서다. 세종시 관계자는 “다른 도시와 다르게 정부가 직접 계획·설계하고, 국비를 들여 만들고 있는 곳이라 ‘도시의 가치’가 근본적으로 다르다”면서 “주택 가격이 어떻게 변할지는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실거주로는 이만한 곳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어디를 사는 것이 좋을까. 정부세종청사 주변인 1·2생활권은 이미 개발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 현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곳은 금강 남쪽의 3·4생활권과 북쪽의 6생활권이다. 개발이 어느 정도 진행된 1·2생활권의 장점은 청사로 출퇴근이 편리하고, 사업이 먼저 시작되면서 편의시설이 많다는 점이다. 반면 분양가보다 이미 가격이 많이 올랐다는 점은 선뜻 매매를 어렵게 한다.

그렇다면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다른 생활권은 어떨까. 3·4생활권은 금강을 끼고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부동산 관계자는 “1·2생활권에 비해 아직 편의시설이 부족하지만, 금강을 끼고 있어 자연환경이 쾌적하다”고 말했다. 대전과 가까워 출퇴근이 가능하다는 점도 관심 포인트다. 3·4생활권에서 분양사업을 진행했던 한 건설사 관계자는 “분양받은 사람들의 절반 이상이 대전 사람”이라면서 “좀 더 좋은 환경을 찾아 대전에서 세종으로 이사 오는 사람들 중 상당수가 3·4생활권을 선호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실제 2012년 이후 지난해 8월까지 대전에서 세종시로 전입한 인구는 5만 1048명으로, 전체 유입인구의 37.9%를 차지했다.

정부 청사 북쪽에 있는 6생활권은 산을 끼고 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첫 삽을 뜨는 6-4 생활권(연기면 해밀리)은 복합커뮤니티 단지를 중심으로 입체 순환산책로, 7개 테마 놀이터, 광장, 돌봄·학습센터 등이 들어설 계획이다. 6-3 생활권(연기면 산울리)은 자연 지형을 살려 입체적으로 개발한다. SK하이닉스 등 대기업 일자리가 늘고 있는 청주와 오송생명과학단지와 가깝다는 것도 장점이다. 부동산 관계자는 “자녀가 있는 사람들은 학군 등의 이유로 직장이 청주지만 세종시에 살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면서 “기본으로 있는 공무원 수요에 외부 유입인구까지 늘어나고 있어 전망이 나쁘지 않다”고 전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7-02-27 33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