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도 놀러 오는’ 순천만국가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대구마라톤에 세계 엘리트급 17개국 160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마다 청년 범위 들쭉날쭉… 인구구조·재정 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광·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들 캐릭터 마케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관가 와글와글] 선배들 왜 그럴까, 후배들은 왜 그 모양이야… 공직사회에 투영된 세대차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국실장급
저녁 뒤 다시 사무실로… 후배들 30분전 정위치 곤혹
“여기까지 왔는데 차관까지 가야지” 속내 안 숨겨

#서기관급
기업 간 친구들 연봉에 허탈… “그냥 옮길까” 고민
상관들은 닦달, 부하들은 불만… 조정 부담에 한숨

#사무관 이하
개인생활 중시하지만 인정받고 싶은 욕구 강해
누가 하라고 시키지 않았는데도 야근 불 밝혀

국·실장급
야망형 꼰대 출근 두번

세대 간의 갈등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쉽게 풀리지 않는 난제였고, 또 진행 중인 과제다. 고도의 압축 성장으로 형제간에도 세대차가 난다고 할 만큼 가치관의 변화가 급격했던 한국 사회는 특히 세대 갈등이 심할 수밖에 없다. 여전히 상명하복이 미덕으로 여겨지는 공직사회 역시 세대 간의 갈등과 세대차가 분명히 존재하는 곳이다.

관가에는 이른바 ‘꼰대’인가, 아닌가를 구분하는 분명한 기준이 있다. 그것은 바로 ‘퇴근 뒤 사무실 복귀 여부’다. 국장이나 고참급 과장 중에는 당장 급하게 처리해야 할 일이 없는데도 저녁 식사를 마친 뒤 굳이 청사로 돌아와 사무실에 앉아 있다가 ‘진짜 퇴근’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물론 별도의 야근 수당이 나오지는 않는다. 당연히 젊은 직원들은 인사철이면 이런 상사를 피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문제는 대부분의 정부 부처가 세종시로 이전한 뒤 이런 상사들이 많아졌다는 점이다.


서기관급
‘낑낑’ 낀 세대 옮겨? 말아?

# 피해야 할 상사 기준 ‘세종 기러기’·‘수험생 자녀’ 왜

경제 부처의 어떤 부서에선 국장이 퇴근 뒤 저녁 식사를 하고 두 번째 출근을 하기 30분 전에 과장이 사무실에 등장하고, 아래 직원들은 그 30분 전에 정위치하는 것이 일상이 됐다고 한다.

그래서 세종청사에서 근무하는 일부 영리한 젊은 직원들은 인사철에 반드시 피해야 할 상사를 판단하는 기준을 두 가지 갖고 있다고 한다. 첫 번째는 ‘세종 기러기’, 두 번째는 ‘수험생 자녀’다. 가족들을 서울에 두고 세종시에서 혼자 생활하거나, 자녀 공부 때문에 집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상사는 하루 두 번씩 출퇴근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반대로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서 세종으로 출퇴근하는 국·과장들이 선호 대상인 건 당연지사다. 그런데 사무실을 ‘사랑’하는 국·과장들도 나름대로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고 자기 변호를 한다. 한 국장급 간부는 “세종 이전 뒤 많을 때는 하루에도 두 번씩 서울로 오르락내리락하다 보니 퇴근 시간 이후에라도 차분히 업무를 정리하고, 다음날 스케줄을 점검할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혹시 후배들이 일하고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에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생각도 있다”고 말했다. 물론 이렇게 이야기한 국장에 대해 한 후배 과장은 “사실 그 국장님은 과천청사 시절에도 좀체 퇴근하지 않았다”고 귀띔했다.

한 고참급 과장은 “우리는 어릴 때 선배들에게 ‘퇴근은 저녁 먹으러 가는 시간’이라고 배웠는데, 그게 습관이 돼 버린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국장급 간부는 “후배들은 우리가 출세에만 목을 맨다고 생각하지만, 선배들에게는 ‘1980~90년대 근로자들과 같이 밤낮없이 일했기 때문에 고도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는 믿음이 있다”면서 “‘철밥통’이라는 비난에 시달리는 요즘엔 그때가 그립기도 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왕 여기까지 온 거 열심히 잘해서 차관까지 가면 좋지 않겠냐”라고 속내를 숨기지 않았다.


사무관 이하
셀프 웰빙족 할 땐 한다

# “국정농단으로 그려진 영혼 없는 공무원 모습 벗어나자”

그러면 사무관 이하의 부하 직원들은 무조건 ‘웰빙’만을 추구하는 걸까. 옆에서 지켜보고, 이야기를 들어 보면 반드시 그런 것만도 아니다. 공직사회에 몸을 담은 이상 어느 누구에게도 “일 못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싶지 않다고들 한다. 개인 생활을 즐기고 싶은 동시에 ‘인정욕구’도 이글거리고 있는 셈이다. 퇴근 시간 이후 정부청사를 돌아다니다 보면 누가 시키지 않았는데도 사무실에서 홀로 불 밝히고 무언가를 열심히 하는 젊은 사무관, 주무관들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어디나 그렇지만 ‘낀 세대’가 힘들다. 주니어도 시니어도 아닌 서기관급 과장들이 그렇다. 승진과 성공에 대한 욕심이 없지는 않지만 ‘올라갈 수 있을까’라는 현실적 가능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공직이 아닌 다른 길을 선택한 또래들에 비해 연봉은 적게만 느껴진다. 그런데 민간으로 이직할 수 있는 기회는 아직 열려 있다. ‘낀 세대’는 이런 내면의 갈등 속에 윗선의 닦달과 부하 직원들의 불만을 잘 조정해 가야 한다.

사실 지금까지의 이야기는 앞으로도 해결되지 않거나 시간이 자연히 해결해 주는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최근 국정 농단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문화체육관광부의 사례에서 ‘절대 이런 선배가 돼서는 안 된다’는 확실한 교훈을 발견할 수 있다. 미르·K스포츠 재단 설립, 블랙리스트 작성 등으로 전·현직 장·차관이 줄줄이 구속된 문체부의 과장 이하 직원들 중 일부는 “다음 정부에서 문체부는 없어져야 한다”는 식의 과격한 이야기를 스스럼없이 하고 다닌다.

# “功은 본인이 챙기고 過는 부하에 미루는 조직에 미래 있겠나”

왜 그럴까. 지난해 9월 국정감사와 이어진 국정조사 및 청문회 과정에서 선배들이 실망스런 모습으로 일관했기 때문이다. 국정농단 관련 업무를 지시하고 재촉했던 실·국장들이 온갖 핑계를 대고 국회 출석을 피하거나 입을 다문 동안 과장 이하 실무자들이 국회의원들이 쏴대는 ‘십자포화’를 그대로 맞았고, 그 과정에서 한 직원은 실신을 하기까지 했다고 한다. 한 문체부 직원은 “지난 반년 가까이 비겁하다고밖에 표현할 수 없는 선배들 아래 있기가 괴로웠다”면서 “공(功)은 본인이 챙기고, 과(過)는 부하에게 미루는 상사들이 많은 조직에 무슨 미래가 있겠나”라고 푸념했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일러스트 강미란 기자 mrkang@seoul.co.kr
2017-03-20 30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