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학대 비판에도 ‘소싸움 대회’ 강행 논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우여곡절 끝에… 새만금국제공항 내년 초 첫 삽 뜬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공공기관장 임기 만료·공석 77곳… ‘역대급 큰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강서 방화근린공원 빛의 축제 오세요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가 인사이드] 10명 중 6명 “공무원은 내 운명”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중앙·지방직 112명 ‘공무원, 이 점은 좋고 이 점은 싫다’ 설문

“공적 업무를 수행하다 보면 단순히 돈을 번다기보단 ‘봉사’를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어쩌면 이 일이 제 운명일지도 모르겠습니다.” 9일 서울신문이 공무원 112명을 대상으로 ‘공무원은 내 운명? 이 점은 좋고, 이 점은 싫다’를 주제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6명이 ‘공무원은 내 운명’이라고 답했다. 조사에 참여한 공무원은 중앙정부 공무원이 86명(76.8%), 지방정부공무원이 26명(23.2%)이었고, 평균 나이는 40.8세다.

#49% “정년보장 등 안정성때문에 선택”

응답자들 가운데 적성에 맞기 때문이라고 답한 사람도 있었지만 대부분 공적 업무를 하며 느끼는 보람에서 이유를 찾았다. 물론 업무량이 너무 많아 퇴근이 늦고 주말에도 출근해야 하기 때문에 공무원이 된 것을 후회한다는 응답자도 있었다. 그 결과 ‘공무원은 내 운명’이라고 답한 사람은 55명으로 응답자(84명) 가운데 65.5%에 이르렀다. 그 이유로 한 응답자는 “국민을 위해 일할 수 있어서”로 답했다. 또 다른 응답자는 “일이 잘 맞고 소신 있게 업무를 추진할 수 있어서”라고 답했다.

응답자 A씨는 가장 큰 보람으로 “국가 정책을 이행하고, 개선하고, 새롭게 만들어 갈 수 있다는 점”이라고 이야기했다. 그러나 B씨는 “(공무원으로 일하면서) 인생을 지금까지 잘 헤쳐 나가고 있는 것”이라는 현실적인 답변을 했다.

반면 공무원이 자신의 운명이 아니라고 답한 사람은 21.4%였다. C씨는 “갖고 싶은 다른 직업이 있었지만, 쉽지 않아 (상대적으로 쉬운) 공무원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D씨는 공직에 대한 불만에 대해 “창의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이 부족하고 능력보단 연공서열을 중시하는 조직 문화가 싫다”고 말했다. E씨는 “(공무원은) 운명이라는 거창한 단어가 어울리지 않는 직업”이라고 잘라 말했다.

공무원을 직업으로 선택한 이유로는 ‘정년보장 등 안정성’을 꼽은 응답자가 53명(49.1%)으로 가장 많았다. 공직에 대한 봉사정신과 사명감이 32.4%, 퇴근 후 여유를 누리고자 공무원을 선택했다는 사람이 9%로 뒤를 이었다. 또 연금 혜택 등 급여를 이유로 든 사람이 2.8%, 일반 취업에 실패해서라고 답한 사람이 2.8%였다.

공무원이 실제로 되고 나서도 좋은 점으로 여전히 ‘정년보장 등 안정성’을 꼽는 응답자가 43%로 가장 높았다. 주변의 존중과 대우를 꼽은 사람이 25.2%로 뒤를 이었고, 봉사정신과 사명감 성취가 16.8%, 퇴근 후 삶의 여유를 꼽는 사람이 6.5% 순이었다. 실제로 정년까지 일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느냐는 물음에 확신한다는 것이 32.7%로 가장 높았다. 그럼에도 정년까지 일하지 못할 거로 생각하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정년까지 일을 못할 것 같다가 15.9%, 못할 거라 확신한다는 것이 10.3% 수준이었다.

급여에 만족하는 사람은 드물었다. ‘보통이다’라고 선택한 응답자가 53.7%로 가장 많았고, 만족하지 못한다는 취지로 답변한 사람이 31.5%였다. 만족하는 편이다를 꼽은 응답자는 13.9%에 그쳤다.

#64% “업무량 많다”… 54% “급여는 보통”

과도한 업무량을 호소하는 사람도 많았다. 업무량은 적정하냐는 질문에 많은 편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63.6%로 가장 많았고 너무 많다고 응답한 사람도 17.8%에 이르렀다. 적은 편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아울러 야근 횟수에 대한 질문에 일주일에 2~3회 야근한다는 응답자가 34.6%로 가장 많았고, 3~4회가 32.7%, 4~5회 15.9%, 0~1회가 16.8%로 뒤를 이었다.

공무원이 되고 나서 후회했던 적은 언제냐고 물은 질문에 ‘퇴근 시간이 늦고 주말도 근무해야 해서’라고 답한 응답자가 31.5%로 가장 많았다. 공무원은 속칭 ‘칼퇴근’할 거라는 편견과는 다른 결과이다. 또 급여가 너무 적어서가 24.1%, 생각보다 권한이 너무 없고, 일상이 지루해서가 14.8% 순이었다. 후회한 적 없다고 답한 응답자는 15.7%에 그쳤다. 기타 의견으로는 ‘주변의 부정적 여론’이라고 답했던 사람도 있었고, ‘복지나 급여 등 대우가 매우 좋지 않고, 다른 직렬과의 상대적 박탈감이 심하고 일에 대한 정당한 보상이 이뤄지지 않은 점’ 등이 나왔다.

아울러 공무원이 되기 위한 준비 기간은 1년 이상 2년 미만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33%로 가장 많았다. 1년 미만이 25%, 3년 이상 4년 미만이 19%, 2년 이상 3년 미만이 14%로 뒤를 이었다. 4년 이상이라고 응답한 사람도 9%나 됐다. 수험 기간 중 가장 힘들었던 점으로 합격 등 미래에 대한 불확신을 꼽은 응답자가 70%로 가장 높았다. 가족 친지들에 대한 미안함이 12%, 고립된 생활에 따른 외로움과 박탈감이 7%, 학원비 등 경제적 문제가 5% 순이었다.

#공무원 준비기간 1~2년 가장 많아

공무원이 되고 싶어하는 ‘공시생’(공무원 시험 준비생)들에게 하고 싶은 조언은 다양했다. F씨는 “연금 감소 등 공무원에 대한 처우는 나빠지고 공무원에 대한 기대수준은 계속 더 높아지는 상황이 계속될 것”이라면서 “자신이 공무원으로서의 직업적 소명의식이 있는지 돌아보고 수험에 임해야 나중에 후회 없는 공직생활을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G씨는 “공무원이 편하다는 생각으로 지원하지 않길 바란다”면서 “많은 권한이 있는 만큼 큰 책임을 져야 한다는 점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H씨는 수험 생활에 대해 “공무원 시험은 머리가 좋은 사람이 합격하는 게 아니라 누가 더 책을 많이 보느냐가 판가름한다”면서 “열심히 하면 반드시 합격할 것”이라고 조언한 응답자도 있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7-04-10 30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