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변전소·환기구 안 된다”… GTX 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한강서 윈드서핑·요트·카누 즐기세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산불 예방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일부 시군 늑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공항 승객 “비행기 이착륙 때 창문 덮개 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서울형 도시재생 공공 디벨로퍼가 이끈다] “주거·업무 통합된 콤팩트 시티… 도시재생에 선택 아닌 필수”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진희선 서울 도시재생본부장

“역세권을 중심으로 작은 공간에 많은 기능을 모은 ‘콤팩트 시티’를 구축하는 건 우리의 미래 도시개발 방향입니다. 이제는 자동차 중심에서 대중교통과 보행 중심으로, 주거·직장 분리에서 주거·업무 통합으로 나아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진희선 서울 도시재생본부장

진희선(53)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25일 콤팩트 시티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했다. 좁은 땅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도시 외연 확장으로 야기된 수많은 도시문제도 해결할 수 있어서다.

진 본부장은 도시재생 권위자로, 서울시 도시 재생을 총괄한다. 그는 “도심을 버리고 외곽으로 나가면서 외곽과 도심을 연결하는 교통망 구축에 수조원대의 비용이 들었고, 도심 공동화 현상, 도심 교통량 급증에 따른 대기오염, 그린벨트 해제·개발 등 도시 외곽 환경 파괴 등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대중교통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주거·업무·상업 등이 모인 압축 개발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외에서는 1970년대 초반부터 역세권을 중심으로 콤팩트 시티를 조성해 왔다. 홍콩의 카오룽베이와 차이완 차량기지, 프랑스 몽파르나스 철도역사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지역은 업무·상업·교육·문화·여가·주거 시설, 호텔 등이 외부 시설인 광장, 공원 등과 조화를 이루도록 개발됐다. 다른 지역으로 주민 유출이 많은 일본 자치단체도 최근 콤팩트 시티 건설에 앞장서고 있다. 약 100곳이 계획을 세웠고, 약 200곳이 이를 검토하고 있다.

진 본부장은 “앞으로도 역세권 중심 개발을 지속해 서울을 친환경의 지속가능한 콤팩트 시티로 만들겠다”며 “청년 실업 같은 사회적 이슈가 대두되면 그에 맞춰 콤팩트 시티 역할도 확대하겠다”고 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7-04-26 14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