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도 놀러 오는’ 순천만국가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대구마라톤에 세계 엘리트급 17개국 160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마다 청년 범위 들쭉날쭉… 인구구조·재정 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광·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들 캐릭터 마케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해외에서 온 편지] 카자흐 정착 80년… ‘한민족의 얼’ 결코 잊지 않았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전승민 주알마티 총영사

올해는 중앙아시아 고려인 동포들의 정주(定住) 80주년이 되는 해다. 고려인 동포의 이주 역사는 1860년대 궁핍을 피해 연해주로 이주해 간 것으로부터 시작됐다. 1930년대 일본의 극동 침략이 본격화되고 고려인들이 일본군에 동조할지도 모른다는 경계심을 갖게 된 소련 당국은 1937년 9월 중앙아시아 농업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고려인들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지로 이주시켰다. 그렇게 역사의 희생물이 된 고려인 동포들이 이제 카자흐스탄에 정착한 지도 어느덧 80년의 세월이 흘렀다.

카자흐스탄 고려인협회 간부회의 참석자들과 전승민 주알마티 총영사가 함께 찍은 기념사진. 첫 줄 왼쪽부터 김로만 고려인협회 회장, 박이반 ‘과학’ 명예회장, 채유리 전 카자흐스탄 상원의원, 전승민 총영사, 니류보비 고려극장장, 신브로니슬라브 알마티고려문화중앙회장.

# 부임 뒤 첫 일정으로 고려인협회 방문

내가 처음 이들을 만난 것은 2015년 12월 29일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부임한 바로 다음날 고려인협회를 방문했을 때다. 연말이라 개인 일정이 있었을 텐데도 새로 온 총영사가 방문한다고 하니 고려인협회장, 고려문화중앙회장, 고려극장장, 고려일보 편집장 등 원로들이 사무실에 나와 환영해 줬다. 이러한 환영을 늘 고맙게 여기는데, 고려인 동포들도 내가 부임 후 첫 일정으로 자신들을 만난 것에 대해 볼 때마다 고맙다고 한다.

현재 구소련 지역의 고려인 동포는 48만명으로 추산되며 카자흐스탄에만 10만명가량이 거주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곳곳에 흩어져 살고 있는 이들을 만나 사연을 듣다 보면 어떤 이야기든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카자흐스탄 이주 후 삶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힘들었고, 둘째는 카자흐스탄 원주민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살아남을 수 없었으며, 셋째는 온몸을 바쳐 열심히 일했다는 것이다.


고려인 카자흐스탄 정착을 기억하기 위해 한·중앙아시아 친선협회가 2002년 초기 정착지인 카자흐스탄 우쉬토베 지역에 설치한 이주기념비.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고려인 동포는 정체성과 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해 왔다. 그 중심에는 고려극장과 고려일보가 있다. 고려일보는 1923년 연해주에서 창간된 ‘선봉’의 맥을 잇는 신문으로, 고려인 동포들이 민족의식과 정체성을 지켜 나가는 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1932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설립돼 올해 창립 85주년을 맞는 고려극장 역시 카자흐스탄 이전 후 수차례 장소를 옮겨 다니는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전통문화 및 언어 계승의 구심점 역할을 해 왔다.

고려인 동포들은 이렇게 지난 80년 동안 갖은 고난 속에서도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며 현지 사회에 뿌리를 내렸다. 상·하원 의원은 물론 법조계, 경제계, 학계, 문화계 등 주류사회에 진출하며 영향력 있는 민족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내가 만난 알마티 시장, 주지사, 대학 총장 등 주요 인사들은 모두 고려인 동포의 근면성과 역량을 높이 평가했다.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주 3·4세대로 넘어가면서 많은 고려인 동포가 한국어를 잊어 가고 있는 사실은 아쉬운 부분이다. 언어는 정체성 유지와 직결되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에 고려인 동포 자신은 물론 우리 정부도 좀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3·4세들 한국어 교육에 정부 관심 가져야

고려인 동포는 현지의 법과 제도, 문화를 잘 알고 있고 또한 1992년 한·카자흐 수교 이후에는 대한민국의 발전상을 많이 경험했다. 고려인 동포들은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양국의 우호 협력을 더욱 증진시켜 나가는 데 있어서는 물론 앞으로 전개될 유라시아 협력시대에 훌륭한 가교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
2017-05-01 35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