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도 놀러 오는’ 순천만국가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대구마라톤에 세계 엘리트급 17개국 160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마다 청년 범위 들쭉날쭉… 인구구조·재정 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광·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들 캐릭터 마케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해외에서 온 편지] 市長 이름 부르는 호주 공무원… 참 부럽더라고요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차우영 시도지사협 호주사무소 책임전문위원

요즘 호주 측 정부 관계자들을 만나면 한국의 최근 동향과 관련해 많이들 얘기를 꺼낸다. 수개월에 거쳐 진행된 일이고 해석도 다 다를 수 있을 텐데 마치 그 긴 시간 동안 모든 과정을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공부해 오기라도 한 것처럼 사안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배경지식도 깊어 놀란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차우영 시도지사협의회 호주사무소 책임전문위원이 호주지방정부사무총장연합 연차총회 때 한국 정부의 우수 정책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는 ‘탈권위’가 사회 화두가 되고 있다. 호주에서는 지극히 일상적인 일이고 한국에서도 당연해야 할 일인 것 같은데, 지금이라도 사회 깊숙이 뿌리내린 권위주의를 내려놓고 서로 동등하게 바라보며 경청하는 가운데 소통하는 통합적 사회로 나아가자는 목소리가 들리는 것 같아 감사하고 반갑다.

반평생을 호주에서 살아오면서 개인적으로 느끼고 공유하고 싶은 가장 인상적인 호주의 가치라고 한다면 모든 일에, 모든 상황에, 모든 것에 ‘애즈 잇 이즈’(as it is·현 상황에서) 있는 그대로의 자연스러움의 가치가 존중되고 사회적 배경에 상관없이 모든 이를 동등하게 대하는 ‘탈권위적 문화’에 있지 않을까 싶다.

업무 관계로 호주 측 정부기관을 방문할 때나 미팅을 할 때도 항상 상호 존중하는 분위기다. 그 어디에서도 직위나 성별, 나이 차이에 따른 차별적 언행이나 의전을 찾아보기 어렵다. 직위가 다름은 각자의 역할이 다름을 의미할 뿐 그 누구도 상사의 의중을 파악해 불필요하게 언행을 조심한다거나 회의에서 주눅이 들어 발언을 자제한다거나 식사 메뉴를 일치시킨다거나 하는 모습을 구경할 수 없다. 모든 상황에 각자 자신의 역할을 다하며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서로 존중하면서 대하는 것이 기본이다.

호주에는 8개의 광역정부와 540여개의 지방정부가 있는데 지위 고하에 상관없이 모두 각자의 역할을 상호 존중하며 동등한 관계에서 업무를 진행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실무진은 개인의 인사고과를 위해 직속 상사의 개인적 성향이나 의중 파악에 시간을 낭비하지도, 자신의 의사를 말할 때 주저하지도 않으며, 상사와 동등한 입장에서 끊임없이 대화하고 소통하면서 업무 추진 방향을 결정하고 그에 근거해 독립적이고 창의적으로 업무를 추진하는 게 일반적이다. 대부분의 시장은 직접 손님들을 안내하거나 차를 따라 주기도 하며 미팅 장소에도 직원을 태워 가거나 혼자 직접 차를 운전하기도 한다.

호주에서는 공식 석상에서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대방을 부를 때 직위가 아니라 이름을 쓰는데, 이러한 문화적 관습이 동등한 직장 문화가 정착되는 데 일조를 한지도 모르겠다. 우리가 직장 상사를 과장님, 국장님, 시장님 등이 아니라 그들의 이름으로 호칭한다면 상상만 해도 얼마나 어색하고 무례하며 끔찍한 일인가. 그래서인지 호주에서 오랜 세월을 살았지만 나이가 많거나 직위가 높은 한국 사람을 이름으로 부르는 건 도저히 상상도 안되는데, 호주 사람은 누구라도 이름으로 부르는 게 더 자연스럽다. 이름을 부른다고 해서 그분들의 연륜이나 경험을 무시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직위나 연령, 성별, 학벌과 같은 사회적 배경보다 그 사람의 ‘있는 그대로’의 가치와 존재를 존중하는 호주의 자유로운 탈권위적 문화로 결국 불필요한 의전이나 관료주의는 사라지고, 각자의 창의적 생각이 주저함 없이 공유되며, 서로의 역할이 온전히 존중되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소통과 통합이 이루어지는 사회가 가능했던 건 아닌가 싶다. 한국에도 ‘탈권위’라는 봄바람이 불어 ‘소통’과 ‘통합’이라는 열매들이 곳곳에 맺어지길 바란다.

2017-06-05 35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