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도지사 “산업현장 인력난 심화...지역 맞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경콘진, 투자사 4곳과 ‘경기 밸류업 인베스트 파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젊은 공무원 챙기기 봇물… “사기 올라” “급여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이순신 장군 애민 정신 본받아야”…현충사 우물물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라이프 톡톡] 예술 전공 안 했지만 ‘예술 같은’ 문화 행정 33년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안호상 국립중앙극장장

안호상(58) 국립중앙극장장은 예술의전당에서 23년, 서울문화재단 대표로 5년 일했고, 국립극장장으로 6년째 근무 중인 최고의 문화경영 전문가다. 지난해 말 국립극장장 재공모를 거쳐 재임용에 성공해 4번 모두 공채로 예술행정 커리어를 쌓은 독보적 이력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안호상 국립중앙극장장은 “예술을 전공하지 않은 것이 오히려 33년간 문화행정 전문가로 활약하는 데 장점이 됐다”고 말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아직 땅도 사지 않은 예술의전당의 공채 1기로 1984년 직장 생활을 시작한 것은 남들 다 가는 길 대신 새로움을 찾은 선택이었다. 세계적인 건축가를 영입해 오페라하우스와 음악당, 미술관 등을 짓고 난 다음에는 예술의전당이 혹시라도 ‘망할까’ 떠나지 못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를 극복하고 난 뒤 분위기가 바뀌어 예술의전당에 주차 전쟁이 벌어지는 것을 보고 오세훈 전 서울시장 때 서울문화재단 대표에 지원했다.

인사가 결정되기 전 시장 면담도 거절했지만, 첫 만남에서 오 전 시장은 “여기 오시는 데 신세 진 사람 없으니 소신껏 하라”며 그의 기를 북돋웠다. 안 극장장은 오 시장도, 연극을 하는 시장 부인도 몰랐지만 오히려 연줄을 대거나 인사 로비를 하지 않아 발탁된 것 같다며 미소 지었다. 하지만 시의회에 인사를 간 첫날 멋모르고 위원장석 마이크를 잡으려다 시의원에게 혼쭐이 난 채 쫓겨나다시피 했다.

“처음엔 곤욕을 치르긴 했지만 의원들의 반대로 못 한 일은 없습니다. 시의원도 전문가로 인정을 해 줘 무명 예술가 발굴과 같은 예술인 지원사업을 맘껏 할 수 있었죠.”

예술의전당이 5%의 국민을 위한 고급예술이라면 서울문화재단은 시민을 위한 공공기관이다. 시 공무원과 의회 사이에서 쌓은 행정력은 국립극장에서 노련하게 발휘하고 있다. 국립극장장은 고위공무원 나급이라 면접 외에 역량평가도 따로 치러야 했다. 1대1, 1대2, 1대4의 면접을 온종일 보는 고위공무원 역량평가는 수십년 일한 공무원도 진땀을 빼는 고난도 시험이다.

“예술인이 역량평가를 통과하기 쉽지 않겠더군요. 장관 업무 브리핑, 산하기관 구조조정, 언론 대응 등이 면접 주제인데 자세히 보니 의도가 보이더라고요. 극장장 재공모에 신청한 사람들이 역량평가에 탈락해서 제가 ‘어부지리’로 또 임용된 것 같아요. 하하.”

재공모에 응할 때는 이미 2011년 역량평가를 치렀기 때문에 다시 ‘공포의 면접’을 보지 않아도 됐다. 하지만 어부지리란 것은 그의 겸양이다. 국립극장 직원은 기관장만 계약직이고 모두 공무원이다. 승진에 유리하기 때문에 본부인 문화체육관광부로 돌아가서 일할 날만 손꼽는 사람이 태반이라 예술행정에 대한 전문성이나 사명감을 찾기 어렵다. 국립극장에 속한 예술인 단체도 그를 민영화를 하러 온 저승사자쯤으로 여겼다. 아군은 없고 적만 바글바글한 상황에서 창극이나 향연 같은 전통예술 공연이 매진되는 등 국립극장의 위상을 높였다.

“문화예술은 예산보다 사람이 훨씬 중요합니다. 박물관에 있는 큐레이터와 같은 전문직 공무원제를 다른 문화기관에도 도입해야 합니다.”

일본 가부키극장을 본뜬 국립극장을 한국 전통공연과 어울리는 공연장으로 만드는 것이 요즘 그의 최대 사명이다. 내년에 리모델링을 끝내고 재개관하면 예술의전당 흥행 신화를 쓴 안 극장장의 저력이 남산 국립극장에서도 발휘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7-06-05 35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