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변전소·환기구 안 된다”… GTX 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한강서 윈드서핑·요트·카누 즐기세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산불 예방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일부 시군 늑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공항 승객 “비행기 이착륙 때 창문 덮개 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스포트라이트] “장·차관도 아닌 국장 자리 역량평가 보는 줄 알았으면 덜컥 받아들이지 않았을 것”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스카우트 제도 1호 공무원’ 강병구 산업부 국가기술표준원 국장

“스카우트 제도 1호로 공무원이 됐는데, 경험 삼아 일한다는 것은 건방진 소리라고 생각합니다.”

강병구(59)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표준정책국장은 ‘게임(산업)의 룰(표준)을 정하는 사람’이다. 흔히 ‘KS’라 불리는 산업 표준을 만드는 강 국장은 고려대 경영학과에서 25년간 일한 교수다. 2015년 9월 임용돼 3년 임기를 마치는 내년에는 학교로 복귀한다.

강병구 산업부 국가기술표준원 국장

# 공무원에 쓴소리 하는 무책임한 당국자였던 그



처음 그가 공직 제안을 받고 고민할 때 주변 반응은 두 가지였다. 장·차관도 아니고 국장으로 가는 건 급에 안 맞는다는 반대 의견과 책임 있는 자리에서 역동적인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찬성 의견이었다. 결국 국장 제안을 받아들인 것은 스카우트 제도란 점 때문이었다. 하지만 고위공무원이기 때문에 역량평가는 치러야만 했다. 강 국장은 “개방형 직위를 공모하면 정작 원하는 분들이 지원을 안 해서 스카우트 제도를 도입해 자리가 열려 있으니 와 달라고 해서 가겠다고 했는데, 역량평가란 면접을 보는 줄 알았다면 안 갔을지도 모른다”며 웃음 지었다.

흔히 ‘폴리페서’라 불리는 교수들이 과대포장되어 있다는 것이 평소 지론으로 실용적인 면을 중시하는 그의 겸양도 국장 자리를 받아들이는 데 한몫했다. 강 국장은 교수가 장·차관으로 일하거나 국장으로 일하는 것은 선택의 문제이지 옳다, 그르다로 구분할 수는 없다는 소신을 밝혔다.

18년간 산업부 공무원들에게 조언하는 ‘무책임한 당국자’의 위치에 있다가 책임지는 자리를 맡게 된 그에게 장벽은 ‘조직생활’과 ‘예산따기’였다. 조직생활을 거의 해 본 적 없이 개인사업자에 가까운 교수로 일하다 공직에 덜컥 입문했지만 흔히 신임 관리자가 강조하는 ‘조직 장악’ 같은 건 하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기존 공무원들처럼 조직을 장악해 단기간에 업무 성과를 내길 원했다면 굳이 정부에서 국장을 민간인으로 스카우트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대신 직원들에게 “내가 무슨 말을 하든 답으로 듣지 마시오. 여러분은 부하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동료”라며 토론을 통해 직원들의 창의성을 끌어냈다. 처음엔 민원인이란 오해를 사면서까지 직원들 방을 일일이 찾아다니기도 했다.

# 조직장악 같은 건 하지 않겠다고 결심

그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표준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 세우는 산업표준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 스마트 팩토리, 자율주행차, 스마트헬스 등 4차 산업혁명의 주인공 격인 산업 현장에 일관성 있는 표준 정책을 펴고자 민간 전문가를 ‘표준 코디네이터’로 파견하는데 예산 사정으로 필요인력의 절반밖에 채용하지 못하고 있다. 내년 10월 부산에서 열리는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총회는 ‘표준 분야의 올림픽’으로 통하는 중요한 행사지만 충분한 예산 확보가 성공의 관건이다.

# 기재부 앞에선 한없이 작아졌다

“기획재정부 공무원은 그냥 공무원이 아니라고 하더군요.” 평생 머리 조아릴 일이 없었지만 기재부에만 가면 한없이 작아진다는 강 국장이다. 공무원이 되면서 연봉도 확 줄어 살림 사는 아내한테 미안하고, 특히 충북 음성군 맹동면에서 혼자 지내는 생활은 전혀 예상 밖이었다. 돈 벌러 가는 길이 아니기에 연봉을 최대한 올리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산업부 앞에서 괜찮다고는 했지만 ‘그래도 방은 주는 줄 알았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의 3대 국정과제로 4차 산업혁명이 선정되면서 산업의 표준을 만들어 ‘룰 세터’가 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국제 표준으로 세계 시장을 장악해야 합니다.” 한 달에 두 번 이상 중소기업 산업현장을 찾아 애로사항을 듣는다는 강 국장의 두 어깨가 듬직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사진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2017-06-19 3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