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도지사 “산업현장 인력난 심화...지역 맞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경콘진, 투자사 4곳과 ‘경기 밸류업 인베스트 파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젊은 공무원 챙기기 봇물… “사기 올라” “급여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이순신 장군 애민 정신 본받아야”…현충사 우물물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대장금’ 9년간 비정규직 생활, 중종이 직접 정규직 전환 지시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조선시대에도 비정규직 설움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임기 내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시대를 선언했는데, 고용주 입장에서 부담스러워한 것은 조선시대에도 마찬가지였다. 중종 19년인 1524년 12월 15일에 있었던 일이다. 임금이 성종 이후 의술이 제자리에 머물고 있음을 지적하며 발전방안 마련을 지시했다. 이 자리에서서 임금은 먼 훗날 한류 촉발의 주요 계기가 된 드라마 ‘대장금’의 실존 모델인 장금의 정규직 전환을 직접 주문했다.

# 급여·처우 등 차별… 신료들은 전환에 소극적

“의녀의 요식(料食·급료)에는 전체아(全遞兒·상근직으로 규정되어 급료 전액을 받는 정규직)와 반체아(半遞兒·일이 있을 때만 입궐하며 급료의 반액을 받는 비정규직)가 있는데, 요즘 전체아에 빈자리가 발생해도 이를 보고하지 않는다. 아마도 전체아 전환을 아뢰기가 어려워서 그런 것 같은데, 장금은 무리 중에서 의술이 나으니 대내(大內)에 출입하며 간병할 수 있도록 전체아를 주어라.”

장금이 실록에 처음 등장한 것은 중종 10년인 1515년 3월 21일로 내의원의 상벌을 논의한 내용이다. 실록으로만 보면 비정규직(반체아) 9년 만에 정규직(전체아)으로 전환됨 셈인데, 임금이 신료들의 소극적 업무태도까지 들먹이며 직접 지시한 것으로 보아 당시에도 급여를 비롯한 각종 처우 때문에 공공부문에서조차 정규직을 꺼린 것은 아닌가 생각된다.

이날 임금은 “사람의 사생이 어찌 의약에만 달렸겠느냐. 의녀 장금은 왕후 호산에 공이 있어 큰 상을 받았어야 했는데, 마침 대고(大故·어버이의 사망 또는 큰 사고)가 있어 받지 못했다. 상은 베풀지 못할지언정 형장을 가할 수는 없다. 이런 연유로 장금의 장형(杖刑)을 속바치게(죄를 면하고자 돈을 바침)한 것이다”며 감형이유를 설명했다. 이로 보아 장금은 이미 오래전부터 근무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록으로 확인된 기간이 9년이고 실제로는 훨씬 오랜 기간 비정규직 의녀로 근무했음이 확실하다.

장금은 정규직 전환 이후 몇 가지 변화가 있었는데,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이 호칭이다. 이름 앞에 대(大)를 붙여 대장금(大長今)으로, 의녀 대신 내의녀(內醫女)로 불렸는데 지위가 상당히 격상된 것으로 보인다.

# 장영실은 10년 논란 끝에 정규직 성공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어 입신양명한 인물로는 동래부 관노에서 대호군(종3품)에 오른 장영실도 빼놓을 수 없다. 장영실은 세종이 발탁한 것으로 많이 알고 있지만, 관노였던 그를 찾아낸 것은 태종이었다. 세종 15년인 1433년 9월 16일 기사는 임금이 장영실의 호군(護軍·정4품 무관직) 승진 이유를 설명한 것이다. “공교한 솜씨가 보통이 아니어서 태종이 보호하셨고 나 또한 아낀다. 영실은 솜씨뿐 아니라 인간됨과 성격이 좋고 똑똑하기가 보통이 아니다.” 이로 보아 태종 때부터 대내에 들어와 일한 것으로 보인다.

장영실이 실록에 처음 등장한 것은 세종 7년인 1425년 4월 18일인데, 이때 직급이 사직(司直·정5품 무관직이나 무보직으로 녹봉 책정을 위한 직급)이었다. 1433년 9월 16일 세 번째 기사는 별좌(종5품 녹봉이 없는 무관직) 장영실을 호군(정4품 무관직)에 임명한다는 내용이다. 이로써 장영실은 10년여의 논쟁 끝에 정규 조정직제인 호군에 올랐다.

이날 임금은 “1422년과 1423년에도 별좌에 임명하려 하자 ‘기생의 아들에게 어떻게 벼슬을 주느냐’며 반대했는데 이미 별좌에 오른 사람에게 호군을 준다는데 또 반대하느냐”며 신료들을 압박하는 대목이 있다. 장영실이 별좌가 된 것은 이보다 1년 앞선 1432년으로 처음 거론된 이후 10년 만이다. 사직과 같은 5품이며 더군다나 녹봉마저 없는 이 자리 때문에 왜 그토록 오랫동안 논쟁을 벌였을까. 별좌는 녹봉이 없는 대신 1년 이상 근무하면 정규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임금은 장영실이 별좌가 된 지 1년이 지나자 기다렸다는 듯이 정4품에 임명했다.

# ‘명의’ 허준·동청례 장군 등도 비정규직 설움

이후 장영실은 자격루, 우리나라 활자본의 백미로 꼽히는 갑인자, 최첨단 관측기구를 설치한 흠경각(欽敬閣) 완공에 기여한 공로로 1438년 1월 7일 대호군(大護軍·종3품)에 올랐다. 그러나 사대부들의 나라에서 그를 받아 준 것은 임금뿐이었다. 직접적인 증거는 없지만 여러 정황으로 보아 음모로 짐작되는 안여(安輿·임금이 타는 가마) 사고로 제조감독을 맡았던 조선 최고의 과학자 장영실은 1442년 4월 26일 곤장 80대의 형에 처해져 직첩마저 빼앗긴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서자로 정1품에 오른 허준, 여진족의 아들로 연산군 때 종2품인 위장을 지낸 동청례 장군도 정규직, 비정규직을 엄격히 구분했던 조선시대에 차별을 뚫은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최중기 명예기자(국가기록원 홍보팀장)
2017-07-03 31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