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위에서 먹고 일하고 놀고 자고… 1000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20년 뭉갠 부산롯데타워, 또 지연되나… 지역사회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휠체어 끌어도, 무릎 아파도… 누구나 즐거운 ‘2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알뜰교통카드 쓰던 경기도민 59% ‘경기패스’ 전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이승로 서울시의원 “걸어서 30분 거리... 대학명 쓰는 경전철역 억지”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우이신설선 경전철을 타고 국민대입구역에 내려서 국민대까지 걸어가면 30~40분, 버스를 타도 15분 이상은 걸리는 것 같아요. 국민대입구역이라고 하기는 좀 억지스러운 거 아닌가요”

성북구 내 소재하고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해당 대학명이 표기되어 있는 역과 떨어져 있는 거리를 조사해 보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우이신설선 경전철 국민대입구역에서 국민대 정문까지는 2.1㎞로 버스를 타고 가도 먼 거리로 나타났다. 국민대입구역이라는 역명이 무색한 것이다. 또한 서경대역에서 서경대까지 거리는 680m로 도보로 이동 시 10분 정도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하철 4호선에는 한성대입구역과 성신여대입구역이 있는데, 한성대입구역에서 한성대 정문까지 980m 거리에 있고, 도보로 15분이 걸린다. 성신여대입구역은 성신여대에서 550m, 도보 8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그나마 6호선 고려대역은 역명에 걸맞게 대학교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적으로 지역의 고유 명칭이나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공공시설을 역명으로 사용하는데, 역 이름이 실제와 동떨어진 사례는 역 주변에 대학이 있을 때 더욱 두드러진다. 실제로 외지에서 해당 대학을 찾아 온 승객은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00대 입구 또는 00대’ 라고 표기하는 기준이 없어 시민들의 혼란을 더욱 가중시킨다. 보통 ‘00대입구’라고 하면 역에서 대학까지 거리가 어느 정도 떨어져 있고, ‘00대’라면 역 앞에 바로 학교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우이신설선 서경대역만 봐도 역 앞에 학교가 있는 것이 아니라 680m 떨어진 거리에 있다. ‘00대 입구 또는 00대’라고 표기를 나누는 기준이 없는 것이다.

현재 서울 지하철역에 역명이 두 개가 병기된 역사는 모두 32개이다. 기존에 있는 역명에 인근 기관명을 함께 병기하는 제도를 운영하면서 역과 가깝고 이용이 편리한 공공기관이나 학교, 병원, 백화점 등을 입찰을 통해 선정한 후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이름을 표기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입찰을 통해 결정된 이름값은 역당 평균 약 2억원으로 계약기간 3년에 한 번에 한해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역명 병기제도가 공공성을 훼손하고 승객의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어 논란이 최근 일고 있다. 역명 병기제도를 통해 서울교통공사는 세외수입을 얻고, 역 주변의 기관은 홍보효과를 누릴 수 있어 서로 Win-Win할 수 있다는 제도이지만 오히려 승객의 불편을 키우고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계약이 끝나는 3년 또는 6년 마다 역명이 재선정되어 명칭이 다른 기관으로 바뀔 경우 승객의 혼란을 키울 것으로 예상되고, 병기된 명칭이 기존 역명보다 더 길 경우 방송이 명확하게 들리지 않아 내릴 역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민원이 들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의회 이승로 의원(더불어민주당, 성북구4)은 “대학명을 사용하는 지하철역과 해당 학교가 대부분 상당 거리 떨어져 있어 실제로 승객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며, “과거에는 지역을 대표할만한 기관이나 명칭이 대학밖에 없어 불가피하게 역명을 정했겠지만 이제는 시대가 달라졌다”고 지적했다.

또한 “홍보 효과를 노리는 학교 측에서 기존 역사 이름에 교명 명기를 요구하다보니 빚어지는 현상이기도 하다”며, “주변의 대표적인 기관을 병기하는 제도를 운영해 서로 ‘win-win’ 할 수도 있겠지만 이것으로 인해 승객에게 혼란과 불편을 끼쳐서는 절대 안 될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역 특성을 살린다는 이유로 역사 위치와 크게 상관없는 곳의 이름을 쓰면 승객의 혼란만 가중시킨다”며, “지역 주민과 승객의 편의를 우선한다면 실제 역사 주변의 기관이나 지역의 고유 명칭으로 역명 정하는 게 가장 합리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