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접지역 뭉쳐 ‘관광벨트’로… 사업협력 앞장 선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수도권 9개 구간 철도 지하화 공약 질주… 지자체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지하차도 물 15㎝ 차면 통제… ‘부처 칸막이’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청라시티타워’ 내년 착공·2030년 완공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커버스토리] 기러기 가족·조직 세대차이에 앓는데… ‘마음 구멍’이 안 보이나요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상담센터 찾는 공무원들

“흔히 공무원 이미지와 결부시켜 공직 스트레스가 따로 있다고 보잖아요. 자신의 스트레스가 누적되고 있는 걸 모른다든지, 내색하지 않고 감춘다든지 하는 것을 얘기하지요. 사실 그렇지 않아요. 민간기업 직원도 책임감이 강하고 보수적이고, 성취지향적이면 똑같아요. 굳이 공직 스트레스를 구분 짓기는 어렵다는 것이죠.”

정부서울청사 상담센터인 ‘마음나래’ 이현주 센터장이 지난달 27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한 말이다. 업무 스트레스 유형이 공무원과 비공무원에 따라 구분되는 건 아니라는 의미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직장 내 상하관계라든지, 직급과 업무 특성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가 다르다고 설명했다. 다만 서울·세종·과천·대전청사 내 상담센터 상담사들이 얘기하는 각 부처 공무원의 고민은 달랐다. 업무 특성과 지리적 상황에 따라 스트레스 근원은 차이가 있었다.


# 세종 관내 작년 52명… 4년 새 2배 늘어



가장 두드러지는 건 세종청사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이었다. 다른 청사와는 달리 주변 환경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세종시로 이전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았다. 가족과의 이별에서 오는 외로움이나 고립된 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그것이다. 실제로 세종의 자살률(인구 10만명당)은 2013년 14.7명에서 2014년 15.2명, 2015년 19.7명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세종시 관내 자살자 수는 2013년 23명에서, 2014년 25명, 2015년 49명, 2016년 52명으로 최근 4년 사이 2배 이상 늘었다.<서울신문 2017년 3월 29일자 1면>

정부세종청사 상담센터인 ‘마음톡톡’ 박명희 센터장은 “세종시 공무원들은 많은 이들이 가족과 분리돼 있기에 여기서 오는 외로움이 있다”며 “도시 인프라 구축이 잘 안 돼 있어 업무 외에 누릴 수 있는 여가가 없어서 삶의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주변에 친구 등 만날 사람이 없어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해소되지 않는다”며 “세종은 돌보미 인력도 열악해 어린 아동을 양육하는 측면에서 여성들의 스트레스도 극도로 높다”고 말했다. 다만 자살률이 높은 점에 대해선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들이 반드시 공무원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고 선을 그었다.

대전청사 역시 세종청사와 비슷한 면이 있었다. 서울에 주거지를 둔 공무원도 있는 만큼 주말부부가 문제였다. 대전청사 상담센터인 ‘휴(休)마음샘터’ 김혜연 상담사는 “아이들은 서울에 있는데 부모 한 명만 혼자 생활해야 하는 스트레스나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들이 있다”며 “또 맞벌이 가족이 많아 가정생활이나 자녀 양육에 시간을 보낼 여력이 없어 가족 상담이 많은 편”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고시 출신이 나이가 어린데도 직급이 높아 조직 관리에 어려움을 토로하는 이도 있다”고 말했다. 대전청사는 다른 청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방조직이 많은 기관이 입주해 있다.

이런 점에서 보면 서울·과천청사는 사정이 나은 편이다. 주변 환경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일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과천청사 상담센터인 ‘온(溫)마음샘터’ 노현숙 센터장은 “과천청사는 녹지 비율이 높고 지리적으로도 부담은 크지 않아 주말부부가 발생하진 않는다”며 “다만 과천청사 옆 중앙선관위원회 직원들도 찾아오는데, 선거 등 일이 많아지면 업무 스트레스로 찾는 분들이 많다”고 말했다.

# 4개 센터 개인상담 30·40대가 가장 많아

연령·직급별 특징도 있었다. 50대는 노후 문제나 아내와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했다. 30~40대는 조직원 관리와 사춘기를 둔 자녀와의 관계가 어렵다고 했다. 20대는 직장 내 적응 문제나 연애, 결혼에 대한 상담이 많았다. 4개 상담센터의 지난해 개인상담 통계를 보면, 40대(1564명, 25.1%)가 가장 많았고, 30대(1506명, 24.2%), 20대(753명, 12.1%), 50대(699명, 11.2%) 순이었다. 직급별로는 6급(806명, 12.9%), 5급(736명, 11.8%), 7급(674명, 10.8%) 순이었다.

대전청사 김 상담사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조직원 관리나 퇴직 후 생활과 관련된 상담이 많다”며 “조직원을 관리할 때 자신이 일할 때와 지금 세대가 너무 달라 그런 부분에서 어려움을 토로하는 공무원들이 많다”고 말했다.

# 스트레스 인식이 해소의 첫걸음

상담사들은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해선 우선 자신이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인식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본인의 마음 상태를 잘 아는 게 기본이라는 것이다. 과천청사 노 센터장은 “공무원들은 업무를 중시하다 보니 자신의 현 상태에 대해선 파악을 잘 하지 않는다. 그래서 스트레스 검진을 하면 높게 나오는 분들이 많다”며 “일과 삶의 균형을 갖추는 게 중요하며, 피곤함이 가중되진 않았는지, 몸의 감각을 익히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정서적 충전감이 중요한데, 가족은 정서적 충전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센터 차원에서 가족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을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청사 박 센터장은 “개인의 행복 가치에 대해 본질적으로 생각하는 여유가 필요한데, 사실 환경이 열악하면 소용없는 일이다”라며 “부처에서도 다각적으로 공무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조치를 해줘야 한다. 좋은 강의나 음악, 공연 등을 통해서 노고를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17-12-04 31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