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변전소·환기구 안 된다”… GTX 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한강서 윈드서핑·요트·카누 즐기세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산불 예방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일부 시군 늑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공항 승객 “비행기 이착륙 때 창문 덮개 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생각나눔] ‘ctrl+c ctrl+v’ 국보 복제 바람… 자원화냐 훼손이냐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성덕대왕신종·신라비 이어 하회탈 제작 추진

“시민 접근성 높여” vs “문화재 가치 떨어뜨려”

경북의 시·군들이 우리 문화재인 국보 복제에 잇따라 나서고 있다. 시·군들은 국보 복제가 문화재 활용도 제고와 문화·관광 상품화 및 자원화 등에 효과적이라는 반면 전문가들은 마구잡이식으로 이뤄질 경우 국보 훼손과 모욕이 우려된다며 신중을 당부한다.

안동시는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으로부터 반환받은 국보 제121호인 ‘안동 하회탈’ 복제품 제작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하회탈의 주인인 하회마을보존회 동의와 문화재청 승인을 받을 계획이다.

12세기쯤 고려 중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하회탈(나무가면, 총 14점)은 현재 주지 2개·각시·중·양반·선비·초랭이·이매(하인)·부네(첩·기녀)·백정·할미 탈 등 11점이 남아 있다.

포항시가 지난 2월 냉수리 신라비와 중성리 신라비를 본떠 만든 비석의 모습.
포항시 제공

앞서 포항시는 지난 2월 예산 7000만원을 들여 국보 제264호인 ‘냉수리 신라비’와 국보 제318호인 ‘중성리 신라비’ 복제품을 제작, 시청사 2층에 상설 전시했다. 냉수리 신라비에는 신라 시대 재산 취득과 사후 재산 상속과 관련한 내용이 231자로 새겨져 있다. 중성리 신라비에는 신라 관등제 성립 과정과 신라 6부 구조, 신라 지방통치와 분쟁 해결절차 등 신라 정치·경제·문화 상황을 보여 주는 203자가 담겨 있다. 중성리 신라비는 지증왕 4년(503)에 제작한 냉수리 신라비보다 2년, 울진 죽변면 봉평리 신라비보다는 23년이 앞선다.


경주시가 지난해 성덕대왕신종(일명 에밀레종)을 그대로 본떠 만든 신라대종.
경주시 제공

경주시도 지난해 15억원을 들여 국보 제29호인 성덕대왕신종(일명 에밀레종)을 그대로 본떠 신라대종을 만들었다. 신라대종은 청동재질에 높이 3.75m, 둘레 7m, 무게 18.9t이다. 외형은 물론 소리, 문양 등이 에밀레종과 최대한 가깝게 제작됐다. 742년 신라 경덕왕이 부왕인 성덕대왕을 기리기 위해 만들기 시작해 771년 혜공왕 때 완성한 에밀레종은 국립경주박물관에 보관돼 있고 훼손 우려로 2003년 개천절 이후 타종이 영구 중단된 상태다.

이와 관련, 지자체 관계자들은 “국보급 문화재를 시민이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지역 이미지를 높이고 문화·관광 상품화와 자원화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임재해 안동대 민속학과 명예교수는 “안동 시내 곳곳에 조잡하고 엉터리로 복제되거나 재현된 하회탈이 흉물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어 국보의 가치를 크게 떨어뜨리고 있다”면서 “국보 복제는 최대한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안동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7-12-29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