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변전소·환기구 안 된다”… GTX 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한강서 윈드서핑·요트·카누 즐기세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산불 예방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일부 시군 늑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공항 승객 “비행기 이착륙 때 창문 덮개 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퍼블릭 IN 블로그] 행안부 실장님 너무하세요!… 금요일 오후 4시 칼퇴하라니요 (ㅎㅎㅎ)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행정안전부 익명게시판 ‘소곤소곤’에 최근 “실장님 너무하세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부하 직원을 힘들게 하는 실장님을 원망하는 내용일까요? 자세한 내막은 이렇습니다.

# 평일 더 일하고 ‘불금 ’ 보장 1년… ‘그림의 떡 ’ 칼퇴

“고생했다면서 실 전직원은 오후 4시 되자마자 전부 퇴근하라니…. 약속시간이 남았는데 좀더 있다 가면 안 될까요? 실장님, 항상 감사합니다.”

알고 보니 실장님을 향한 원망이 아니라 감사를 표하기 위해서였네요. 글쓴이가 감사한 이유는 다름 아닌 ‘퇴근을 시켜줘서’였습니다. 행안부 공무원들이 이처럼 퇴근에 감사하게 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지난해 4월부터 ‘그룹별 집단 유연근무제’가 실시됐습니다. 인사혁신처를 시작으로 각 중앙부처에서 자체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평소보다 30분씩 일을 더하고 금요일 오후 4시에 퇴근하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공무원들에게 ‘불금’을 보장해 주는 제도죠. 저출산 시대에 일과 가정의 양립이라는, 중요한 가치를 사회에 널리 확산하고자 정부기관이 솔선수범한 것이죠.

이 제도가 도입된 지 1년이 가까워 오고 있습니다. 취지는 좋은 이 제도, 잘 정착됐을까요? 중앙부처 중 하나인 행안부 공무원들에게 물어보면 반응이 시큰둥합니다. 업무 강도가 높은 중앙부처다 보니 야근이 잦고 금요일 유연근무제도 지키기 어렵다는 반응이 많습니다. 행안부 A 주무관은 “업무 특성상 야근이 많다. 매일 30분 이상은 기본이기 때문에 규정대로라면 금요일 오후 4시에 퇴근해도 된다”면서도 “실제로 그 시간에 용기 있게 일어나서 퇴근해본 적은 없다. 실·국장님들이 자리를 지키고 있으니 그러기 어렵다”고 속내를 털어놨습니다.

공무원들의 공식적인 퇴근시간은 오후 6시입니다. 정부서울청사에선 오후 5시 30분이 되면 정겨운 음악소리와 함께 “야근은 줄임표, 눈치는 마침표, 삶은 이음표”라는 멘트와 함께 공무원들의 퇴근을 ‘종용’하는 방송이 나옵니다. 하지만 그 방송대로 오후 6시에 ‘칼퇴근’하는 행안부 공무원들은 보기 어렵습니다. 행안부 B 사무관은 야근하려고 저녁을 먹으러 나가다가 복도에서 마주친 다른 부서 선배에게 “집에 일찍 가네”라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B 사무관은 “저녁 먹고 다시 와서 일할 겁니다”라며 씁쓸하게 웃었습니다. 업무가 많은 중앙부처 특성상 ‘나인 투 식스’(오전 9시 출근, 오후 6시 퇴근)는 어려운 일이라고 합니다. 국정감사 등 일이 많은 시기에는 자칫 밤샘근무를 하게 되는 일도 빈번하죠.

# 규정대로 했을 뿐인데… 미담이 되는 웃픈 현실

‘그림의 떡’처럼 느껴지던 금요일 유연근무제를 지시한 ‘문제의’ 실장님은 김현기 행안부 지방재정경제실장으로 알려졌습니다. 규정에 나와 있는 대로 했을 뿐인 김 실장의 지시가 행안부 공무원들에게 미담으로 다가온 건 ‘웃픈’(웃기고 슬픈)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해당 게시물 댓글에는 “오늘(금요일)은 원래 오후 4시에 퇴근해야 하는 ‘그날’ 아닌가요?”라며 말뿐인 규정을 돌려서 비판하는 공무원이 있는가 하면 “우린 그런 유연근무가 있는지도 몰랐는데, 같은 부처가 맞긴 한 거냐”고 부러워하는 댓글도 있었습니다.

# 말 뿐인 제도 아닌 퇴근 문화 바꾸는 신호탄으로

이 제도는 처음 도입 때부터 실효성이 없을 거란 우려가 있었습니다. 매일 야근을 해도 모자란데, 금요일에 일찍 퇴근해 봤자 집에서 하거나 다시 출근하는 일도 생기지 않겠느냐는 것이죠. 정부기관에서조차 지키기 힘든 일과 가정의 양립이 사회 전체로 확산되기까진 시간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방재정경제실 공무원이 ‘너무하다’고 평가한 김 실장의 퇴근 지시가 공직사회, 나아가 사회 전체의 퇴근 문화를 바꾸는 신호탄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18-01-29 3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