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도 놀러 오는’ 순천만국가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대구마라톤에 세계 엘리트급 17개국 160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마다 청년 범위 들쭉날쭉… 인구구조·재정 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광·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들 캐릭터 마케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공무원 대나무숲] ‘칼퇴’ 가족사랑의 날 = 잔업 무료 봉사의 날?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내일(수·금요일)은 가족사랑의 날이자 캐쥬얼 데이입니다. 간편한 복장으로 출근하셔서 밀도 있게 근무한 뒤 정시에 퇴근해 가족과 함께 하시기 바랍니다.’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오후 5시 50분쯤이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행정안전부에 이런 안내말이 울려 퍼진다.

# 초과근무해도 올릴 수 없어

‘가족사랑의 날’은 2009년 여성가족부에서 처음 도입했다. 바쁜 주중에 수요일 하루라도 가족과 함께 보내는 작은 실천이 가족사랑의 첫걸음이 된다는 의미에서였다. 올해로 10살이 된 가족사랑의 날에 대해 동료들은 필요한 제도라는 데는 동의하지만 실효성은 ‘글쎄’다.

불만의 가장 큰 원인은 정시 퇴근 촉진을 이유로 가족사랑의 날엔 초과근무수당(시간외근무수당)을 받을 수 없어서다. 행안부는 수요일과 금요일 모두 초근수당을 받을 수 없다. 예외가 있다면 부처 차원에서 대응해야 하는 국회 업무, 재난 상황 등이 있을 때다. 예외상황이 아니더라도 추가 업무를 봐야 하는 날들이 있는데 일주일에 2일이나 초근수당을 올릴 수 없으니 그날은 ‘무료봉사’를 하는 셈이다.

# 일한 만큼 받을 수 있었으면…

24시간 근무와 공휴일 정상근무가 필요한 기관에서 일하는 현업 공무원을 제외한 일반 공무원의 초근수당은 월 최대 57시간으로 제한돼 있다. 또 부처나 실·과별로 할당된 초근수당 시간 및 예산이 다르다. 업무량이 많은 곳은 할당 예산이 크고, 그렇지 않은 부서는 예산도 적게 잡힌다. 상대적으로 많은 예산이 할당된 부서에 근무하면서도 직원들이 할당된 초근수당을 월 중순쯤 모두 써버리는 경우도 생긴다. 그럴 땐 내부게시판에 이번 달 초근수당 결제가 더이상 되지 않는다는 글이 뜬다. 그걸 보면 월말까지는 일한 만큼 받을 수도 없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 할 일 남아도 퇴근하라는 건지

가족사랑의 날이 일·가정 양립에 일정 부분 도움이 되는 것 같기도 하다. 예전 같으면 수당 때문에라도 늦게까지 잔업을 했을 사람들이 수당을 받을 수 없는 요일이기 때문에 ‘칼퇴’(정시퇴근)를 하는 모습을 보면 그렇다. 제도 덕분에 가족들과 저녁 식사를 함께하거나 영화를 보러 가는 등 문화생활을 즐기는 때도 있다.

도입 당시 김희정 여가부 전 장관은 “네덜란드는 퇴근 시간에 컴퓨터를 모두 사무실 천장으로 올려버린다”고 말했다. 해야 할 업무와 일할 수 있는 환경이 남아 있는 상황에서 가족사랑의 날이 이상적인 일·가정 양립 정책이라고 볼 수 있을지 의문이다.

한 행정안전부 공무원
2018-03-05 35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