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도 놀러 오는’ 순천만국가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대구마라톤에 세계 엘리트급 17개국 160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마다 청년 범위 들쭉날쭉… 인구구조·재정 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광·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들 캐릭터 마케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명예기자 마당] 메아리 없는 정책 피하려면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최근 한 토크 콘서트에서 네이버 강인호 리더는 카카오(다음), 구글 등 검색 엔진이 아닌 유튜브를 강력한 경쟁 상대로 지목했다. 10~20대는 정보를 찾기 위해 영상을 검색하는 데 익숙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는 앱 사용 순위에서도 감지된다. 지난해 9월 유튜브는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제치고 스마트폰 앱 실사용자수 1위를 달성했다고 한다.


미디어 환경과 사용자의 급격한 변화는 정부가 보다 효과적인 정책 전달과 수립을 위한 진지한 고민을 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중소기업 근무 환경에 대한 청년들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고 가정하자. 전통적인 접근 방식은 글로 설명하는 것이겠지만 이보다는 중소기업에 실제 근무하는 청년의 하루를 유튜브를 통해 가감 없이 보여주는 것이 더 많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영상이 텍스트와 문서를 통해 생산되는 정제된 정책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공들여 만든 정책이 ‘대답 없는 메아리’가 되지 않으려면 정책 수요자의 이해와 공감을 사기 위한 정부의 변화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홍민석 명예기자 (기획재정부 홍보담당관)
2018-04-09 35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