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변전소·환기구 안 된다”… GTX 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한강서 윈드서핑·요트·카누 즐기세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산불 예방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일부 시군 늑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공항 승객 “비행기 이착륙 때 창문 덮개 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동호회 엿보기] 보훈가족 찾아가 노후 주택 수리 “희망 나누려다 현실을 배웁니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경남동부보훈지청 봉사동호회 ‘희나모’

“드물게라도 주말 봉사를 하자는 차원에서 결성된 ‘희나모’(희망을 나누는 모임)가 11년이 됐습니다. 사랑을 나누자는 의도였는데, 도리어 저희가 보훈 현실과 사각지대를 느끼고 배우게 됐죠.”

지난해 11월 국가보훈처 경남동부보훈지청 봉사 동호회 ‘희망을 나누는 모임’ 회원들이 인근 두산중공업 내 국가유공자 모임인 ‘육육회’ 회원들과 경남 창원시에 위치한 한 노후 주택을 수리하고 있다.
동호회 제공

국가보훈처 경남동부보훈지청에 근무하는 장지희(43·7급) 희나모 총무는 13일 “1년에 2회씩 형편이 힘든 노인 보훈 대상자의 노후 주택을 손봐 주는 ‘해피하우스’ 활동을 하고 있다”며 “시간이 나면 밭에서 양파를 뽑는 봉사나 김장 봉사도 나간다”고 말했다.



# 23곳 주택 개선… 말보다 발로 ‘해피하우스’

2006년 상반기부터 경남동부보훈지청(당시 창원지청)의 전 직원 20여명은 인근 두산중공업 내 국가유공자 모임인 ‘육육회’(현충일인 6월 6일에 만들어서 붙인 이름)의 봉사활동에 참여했다. 이어 이듬해 상반기 봉사 동호회 희나모를 결성했다. 현재는 회원이 27명으로 늘었고, 동호회 운영비는 월급에서 5000원씩 모아 충당한다.

“봉사는 주로 토요일에 하는데 평균 14~15명 정도가 참여합니다. 육육회 회원도 10명 이상 참여하고, 보훈 대상자 중에 사정이 힘든 분들을 주로 돕습니다. 동호회 운영비는 작은 돈이지만 주택 개선 사업에 보탭니다.”

# 6·25 참전 용사 파지에 쌓인 열악한 집 기거

장 총무는 지난해 11월 방문한 창원 시내의 한 노후 주택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88세 6·25 참전용사와 부인이 사는 곳이었는데 파지를 너무 많이 쌓아둬 마당에 쥐가 나오는 등 주거 환경이 열악했다. 실내는 어둠침침하고 전기 배선 문제도 있었다.

“남자 회원들이 리어커에 산더미 같은 파지를 실어 고물상에 팔고, 도배와 장판을 교체했습니다. 전등은 발광다이오드(LED)로 교체하고 콘센트도 교체했죠. 무엇보다 노인 분들은 폐쇄성이 강해 살던 대로 지내려 하기 때문에 동행한 복지관 직원이 지속적으로 설득했습니다.”

# “책상 업무 아닌 현장 보니 사각지대 이해”

이들은 현재까지 23곳의 노후 주택을 개선했고 다음달 26일 24번째 집을 방문한다. 정 총무는 봉사의 기쁨도 있지만 보훈 현장에 대해 더욱 많이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교외 지역보다 도심에 사정이 딱한 보훈 대상자가 많습니다. 서류상 자식이 있으면 큰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실제 부양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죠. 보훈 사각지대인 겁니다. 국가유공자 업무를 하면서 그 분들의 삶 자체에 관심을 두었는지 반성도 하게 됐습니다. 솔직히 업무가 지겨울 때도 있는데 현장에서 유공자와 대화를 나누면 그분들을 본질적으로 이해하자는 마음이 듭니다.”

그는 대부분의 유공자 노인들이 노후 주택 공사를 할 때 노인정에 가 있으라고 권해도 “이렇게 추워도 우리집을 고쳐주는데 그럴 수 없다”며 연신 “고마워”란 말을 되뇐다고 전했다.

“봉사를 하며 말만 ‘보훈가족’이 아니라 진짜 내 할아버지를 돕는 거란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6·25 참전용사들과 전몰 유족들은 정말 어려운 시대를 관통해 살아온 분들입니다. 사회의 많은 관심을 바랍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8-04-16 33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