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접지역 뭉쳐 ‘관광벨트’로… 사업협력 앞장 선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수도권 9개 구간 철도 지하화 공약 질주… 지자체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지하차도 물 15㎝ 차면 통제… ‘부처 칸막이’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청라시티타워’ 내년 착공·2030년 완공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개혁 바람’ 철도공기업, 행시 출신이 사라졌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남았던 2명마저 철도 업무 떠나

‘고시파’ 기시 출신 4명만 명맥
“요직 회전문” VS “안정화 기여”

코레일(왼쪽)과 철도시설공단 건물.

철도 공기업에 행정고시 출신들이 사라졌다. 2004년 한국철도시설공단, 2005년 코레일이 설립된 지 14년 만이다.



14일 코레일과 철도공단에 따르면 최근 유재영(행시 31회) 코레일 부사장에 이어 지난달 한문희(행시 37회) 코레일 경영기획본부장이 철도 관련 업무를 떠났다.

철도청 당시만 해도 고시 출신이 많았지만 철도구조개혁에 따른 상하 분리를 앞두고 대부분 공직을 택해 다른 부처로 이직하면서 행시 출신은 단 두 명만 남았었다. 철도공단은 철도 건설 및 시설 관리 전문기관이라는 특수성으로 행시 출신은 없었다. 이로써 철도에서 고시는 기술고시 출신이 명맥을 유지하게 됐다.

코레일에는 정인수(기시 22회) 부사장, 김천수(기시 20회) 사업개발본부장, 김광모(기시 31회) 서울지역본부 시설처장 3명이 재직 중이다. 철도공단에서는 김도원(기시 28회) KR 연구원장이 유일한 고시파다. 지난 2월 취임한 김상균 철도공단 이사장도 기시(14회) 출신이다.

철도 공기업에서 고시 출신은 내부에서 ‘애증’의 대상으로 인식돼 왔다. 이들은 철도청에서 공기업으로 전환할 당시 연령이 30~40대, 중간 간부로 있다 보니 줄곧 요직에 배치됐다. 기관장이 바뀔 때마다 일부 굴곡을 겪기도 했지만 결국 한정된 인력 풀에서 중용될 수밖에 없었다.

코레일과 철도공단이 안정화하는 데 고시 출신들의 ‘공’이 적지 않다. 중앙부처의 인맥을 활용해 철도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관리 부처와 산하 공기업의 관계를 고려할 때 그나마 고시 출신들이 있었기에 철도의 민원 및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었다. 업무 역량도 인정받았다. 그럼에도 10년 넘게 고위직으로, ‘회전문’ 인사 대상이 되면서 곱지 않은 시선이 집중됐다.

코레일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얼마 안 되는 고시 출신이 요직을 독점한다는 지적과 불만이 있었지만 그들의 능력과 철도 발전을 위한 노력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면서 “업무적 공백은 없지만 고시 출신이 사라지는 것에서 시간의 변화를 느낀다”고 말했다.

고시 출신의 한 간부는 “공직에 남은 동기들과 비교될 때가 있지만 철도가 좋아서 선택한 만큼 철도의 발전과 기술 향상에 기여하고 싶은 생각”이라며 “철도는 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도전적이고 매력 있는 조직”이라고 평가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8-05-15 11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