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접지역 뭉쳐 ‘관광벨트’로… 사업협력 앞장 선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수도권 9개 구간 철도 지하화 공약 질주… 지자체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지하차도 물 15㎝ 차면 통제… ‘부처 칸막이’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청라시티타워’ 내년 착공·2030년 완공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하수도 요금 가장 비싼 부산, 가장 싼 세종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17개 시·도 평균은 t당 469.1원

전국 하수관 경부고속도 399배

전국 17개 시·도 중 하수도 요금이 가장 높은 곳은 부산, 가장 낮은 곳은 세종으로 나타났다.

환경부가 22일 공개한 ‘2016 하수도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중 공공하수도 서비스를 받는 인구는 4927만 5118명으로 전체 인구의 93.2%였다. 전년 대비 0.3% 포인트 높아졌다.

전국 평균 하수도 요금은 t당 469.1원이었다. 전년(410.9원) 대비 58.2원 올랐으며 2007년(252.4원) 대비 85.9% 올랐다. 지방자치단체별로 하수도 요금이 가장 비싼 곳은 부산으로 t당 611.1원이었다. 인천(554.1원/t), 서울(524.2원/t) 순으로 높았다. 가장 낮은 곳은 세종으로 t당 246.7원이었다.

전체 하수도 재정 지출 중 하수도 요금으로 충당하는 비율은 44.2%로 2007년(42.6%)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시·도별로는 인천(87%)이 가장 높았고 대구(76.9%), 부산(73.3%)이 뒤를 이었다. 가장 낮은 곳은 강원(16.3%)이었고 제주(17.8%)가 뒤에서 2위였다.

전국에 설치된 하수관로의 총길이는 14만 3168㎞다. 경부고속도로 길이의 399배다. 전년 대비 5975㎞가 늘어났다. 공공하수도 보급지역 확대, 고도처리시설 확충 등으로 설치나 개·보수에 드는 하수도 투자비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6년 하수도 투자비는 9조 6909억원으로 2007년(4조 9348억원)에 비해 4조 7561억원 늘어났다. 하수처리에 들어가는 비용도 t당 1061.9원으로 2007년(592.4원)에 비해 늘었다.

하수 재이용량은 2016년 11억t이었다. 재이용 하수처리수의 주요 용도는 하수처리장 내 이용이 5억 7000만t(50.7%)으로 가장 많았다. 하천유지용수 3억 9000만t(35.4%), 공업용 6000만t(5.6%), 농업용 1000만t(1.1%) 순이었다. 유호 환경부 생활하수과장은 “하수도의 기능이 수자원으로서의 활용, 에너지 생산·절약 등으로 발전했다”면서 “앞으로 하수도 통계에 ‘에너지 자립도’를 추가하는 등 관리체계를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18-05-23 11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