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재정난에 주요 사업 축소·보류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부산오페라하우스 새달 2일 공사 재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기후동행카드 이용자 2만명…승용차 대신 대중교통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용산 이태원서 ‘앤틱&빈티지’ 봄 축제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특례시 지정돼도 여전히 기초단체… 재정수입·권한은 장기적으로 늘 듯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특례시 관련 궁금증 풀이

문재인 정부가 지방자치법을 전면 개정해 인구 100만명 안팎 대도시를 ‘특례시’로 지정하겠다고 밝혀 경기 수원·용인·고양, 경남 창원 등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수원을 비롯한 ‘광역시급 도시’들은 인구 규모에 걸맞은 대우를 해 줄 것을 요구해 왔지만 상위 광역지자체들은 세수 감소 등을 우려해 난색을 표했다. 특례시가 이런 해묵은 갈등을 끝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1일 특례시에 대한 궁금증을 살펴봤다.

●‘100만 도시’ 광역단체에 묶되 자율 확대

→특례시는 광역시와 기초지자체 사이에 위계를 가진 새로운 행정구역인지.

-아니다. 특례시라는 것은 단순한 행정 명칭에 불과하다. 특례시로 지정돼도 이 도시들은 여전히 기초지자체다. 특례시라는 이름이 붙여진다고 해서 새로운 형태의 지자체가 되는 것은 아니다. 과거 한 도시가 인구 100만명이 넘으면 관행적으로 광역시 승격 여부를 논의하곤 했다. 기초지자체가 광역시가 되면 공무원 수가 늘고 각종 사업 추진과 예산 집행 등이 자유로워진다. 하지만 이 도시를 품고 있는 도(道)의 입장에서는 잘나가는 지자체를 광역시로 분가시켜야 해 막대한 세수 원천이 사라진다. 특례시는 인구 100만명급 도시를 광역지자체에 묶어두되 자율권을 좀더 부여하는 ‘절충안’이다.

→특례시가 되면 광역시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다던데.

-그렇다. 장기적으로는 해당 도시의 재정 수입과 권한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부 언론에서 “재정 수입이 수천억원 늘어나고 자체적인 도시 계획을 세울 수 있다”고 보도하는 건 광역시 승격을 가정한 것이어서 다소 과장됐다. 우선 지방자치발전위원회 등이 의결한 189건의 대도시 사무특례를 넘겨주고 향후 논의를 통해 추가 이양사무를 발굴할 계획이다.

→현재 특례시 지정이 거론되는 도시들은 정부의 결정에 만족하나.

-아니다. 겉으로는 “환영한다”고 말하지만 속내는 복잡할 수밖에 없다. 그간 창원은 특례시가 아니라 광역시 승격을 위해 애써 왔다. 2010년 마산·창원·진해 통합도 광역시 승격을 염두에 둔 포석이었다. 다른 도시들도 할 수만 있다면 광역시가 되고 싶을 것이다. 실제로 광역시인 울산은 2016년 말 공무원 5961명, 예산 5조 4996억원으로 인구 규모가 비슷한 수원(공무원 2878명, 예산 2조 4054억원)과 비교해 예산과 인원 모두 두 배가 넘는다. 광역시냐 아니냐에 따라 이렇게 큰 차이가 난다.

●광역시 승격 기초단체 울산이 끝일 듯

→특례시가 생겨나면 앞으로 더이상 광역시는 안 나올까.

-그렇다. 올해 1월 기준 인구 100만명에 근접한 도시는 앞서 언급한 네 개 도시 말고도 경기 성남(96만 7508명), 경기 부천(85만 1404명), 충북 청주(83만 5412명) 등이 있다. 하지만 광역지자체들은 앞으로 이 도시들이 광역시보다는 특례시로 남기를 원할 것이다. 아마도 광역시가 된 기초지자체는 울산(1997년)이 마지막일 듯하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8-11-02 14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