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접지역 뭉쳐 ‘관광벨트’로… 사업협력 앞장 선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수도권 9개 구간 철도 지하화 공약 질주… 지자체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지하차도 물 15㎝ 차면 통제… ‘부처 칸막이’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청라시티타워’ 내년 착공·2030년 완공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아직 더 밝혀야… 직업병 사전예방시스템 구축”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반도체 혈액암 연관성 조사 10년… 김은아 산업안전보건硏 실장


김은아(직업환경의학 전문의)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실장

“연구 기간이 이렇게 길어질 줄은 몰랐어요. 외압이나 그런 것은 없었습니다. 부서를 찾고 어떤 공정과 약품을 썼는지 담당자에게 물어보면 대부분 퇴직한 경우가 많아서 어려웠죠.”

지난 10년여간 ‘반도체 제조공정 근로자에 대한 건강실태 역학조사’를 이끈 김은아(직업환경의학 전문의)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실장은 23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길고 지난한 과정 끝에 조사 결과를 내놨지만 아직 밝히지 못한 부분이 많아 할 일이 남아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조사를 시작할 때만 해도 연구원 신분이었지만 지금은 실장이 됐다.

앞서 정부는 지난 22일 국내 반도체 기업의 전현직 근로자 20만명을 10년 넘게 추적 조사해 “이들의 혈액암 사망 위험이 전체 노동자보다 최대 3.7배 가까이 높다”는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2007년 3월 삼성전자에서 일하던 황유미(1984~2007)씨가 급성 백혈병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반도체 공장 작업환경이 혈액암의 원인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된 지 12년 만이다. 이번 발표는 그간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궈 온 반도체 공정 유해성 논란에 사실상 종지부를 찍은 것으로 평가된다.

김 실장은 이번 조사를 시작한 계기를 ‘황씨에 대한 부채의식’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황씨 사망 뒤 아버지(황상기 반올림 대표)로부터 여러 사연을 들었다. 그에게서 진정성과 절실함이 느껴졌다. 나 역시 다시는 이런 일이 없기를 바라는 절박함이 생겨났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하지만 2008년 발표한 ‘반도체 근로자 역학조사’에서 정확한 발병·사망 원인을 찾지 못했다. 기간이 짧았고 조사 방식에도 한계가 있었다. 반도체 노동자 인권단체 반올림으로부터 실망 섞인 비판을 들었다. 마음이 무척 아팠다. 세상을 떠난 반도체 노동자의 가족을 위해 장기 추적조사를 결심했다”고 털어놨다.

조사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을 묻자 그는 “황씨 사례를 처음 조사할 때만 해도 이 정도로 이슈가 커질 줄은 상상하지 못했다. 조사에 쓰일 자료와 인력 모두 턱없이 부족했다”고 토로했다. 김 실장은 “조사 대상 노동자(20만명)들이 입사 뒤부터 퇴직 때까지 어디서 일했고 어떤 공정이 이뤄졌고 무슨 약품이 쓰였는지를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알아내야 했다. 제대로 된 자료가 없어서 우리가 직접 조사해 채워 넣어야 하는 것들도 태반이었다. 쉬운 일이 아니었다. 많은 연구자들이 처우 등을 이유로 중간에 떠나기도 했다”고 아쉬워했다.

삼성전자 등 당사자가 비협조적으로 나오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이번 조사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이뤄져 기업이 자료 제출 등을 거부하지 않았다. 되레 데이터 양이 워낙 많아 업체 담당자들의 고생이 컸다”며 “정치적 외압 같은 건 없었지만 우리나라의 사회적 한계를 절감했다. 사회에 쌓아 놓은 질병 관련 데이터가 워낙 적다 보니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구하기 힘들었다”고 말했다.

조사 결과에 대한 소감을 묻자 그는 “아직 속시원하게 밝혀내지 못한 부분이 적지 않다. 조사에 포함되지 않은 노동자도 꽤 있다. 시원하게 끝마쳤다는 생각은 안 든다”고 했다. 김 실장은 “우리나라에선 사회적 문제가 터졌을 때 연구원이 뒤따라가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밖에 없다. 이제는 선도적으로 직업병 사전예방시스템을 구축해 보고자 한다”면서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등을 연계해 빅데이터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다. 직업병의 트렌드를 미리 알고 예방 조치에 나설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19-05-24 14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