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재정난에 주요 사업 축소·보류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부산오페라하우스 새달 2일 공사 재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기후동행카드 이용자 2만명…승용차 대신 대중교통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용산 이태원서 ‘앤틱&빈티지’ 봄 축제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가계소득 늘수록 심혈관질환 사망률 낮아져”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삼성서울병원 성지동 교수팀 연구 결과

가계소득 증가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소득자가 아니더라도 소득이 늘면 심혈관질환 사망 위험이 낮아졌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성지동 교수팀(송윤미 가정의학과·홍경표 순환기내과 교수)은 2002∼2013년 17만 8812명의 수입과 건강검진 이력, 사인 등을 비교한 결과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2년 당시 소득을 기준으로 연구 대상자들을 상위 30%, 중위 40%, 하위 30% 그룹으로 구분했다. 또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하고 허혈성 심장질환이나 뇌졸중, 심부전· 암 병력이 없는 사람으로 선별했다. 10년간 이들의 생존율을 추적 관찰한 결과 전체의 4.1%인 7300여명이 세상을 떠났는데, 이들 가운데 0.9%가 심혈관계 질환으로 숨졌다. 하지만 상위소득층은 3.6%만 사망했고 이 가운데 심혈관 질환자 비율도 0.7%에 불과했다. 중·하위소득층과 비교해 사망률과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가장 낮았다.

상위소득층은 수입 변동에도 사망률에 큰 차이가 없었다. 수입에 오르내림이 있었던 사람의 사망률은 1%로 중위 소득층과 하위소득층(2%)보다 낮았다. 반면 중위소득층은 수입 변동에 따라 사망률 편차가 컸다. 수입이 고정되거나 감소한 사람의 사망률은 8∼9%로 수입 상승세 혹은 오르내림을 경험한 사람들보다 사망률이 4배 이상 높았다. 성 교수는 “소득 수준에 따라 확연하게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차이가 있다”며 “이는 소득 불평등이 실제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9-07-09 14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