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변전소·환기구 안 된다”… GTX 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한강서 윈드서핑·요트·카누 즐기세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산불 예방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일부 시군 늑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공항 승객 “비행기 이착륙 때 창문 덮개 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행안부 브이로그라는데 ‘안글소’가 뭐예요?”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글과 소리로 푸는 안전 브이로그 이달부터 시작

이충현 사무관이 직접 글 쓰고 그림 그리며 진행

공무원인지 서예가인지 모를 숨은 실력자

광복절엔 독립기념관서 태극기 그리는 법 등 선보여
이충현 행정안전부 대변인실 사무관이 광복절을 맞아 15일 독립기념관에서 브이로그 ‘안글소’를 진행하고 있다.

“자 오늘의 주제어는 국민안전입니다.” 이어 진행자가 커다란 화선지에 국민안전을 한글과 한자로 쓴다.

‘국’(國)은 군인들이 창을 들고 경비하는 혹혹(或)자에다가 이를 사방으로 둘러싼 ‘에운담 위’(큰 口)가 결합된 것입니다… 마지막은 백성, 사람을 뜻하는 민(民)자인데요. 이게 옛날 노예들이 도망가지 못하게 송곳으로 한쪽 눈을 찌르는 모습을 형상화했다고 합니다. 아주 끔찍합니다.”

행정안전부가 이달 들어 재난 안전과 관련, 국민과 직접 소통하는 ‘브이로그’(비디오(vedio)와 블로그(blog)의 합성어) 콘텐츠를 내놨다. 물론 기존 페이스북과 안전한TV 유튜브 채널을 활용한 ‘안전을 부탁해’(2018년) 등의 생방송 프로그램이 있지만, 이들 프로그램은 정해진 날과 시간대에 생방송으로 진행돼 콘텐츠 확산과 시청자들과의 소통에 한계가 있었다

고민 끝에 보완책으로 나온 게 바로 브이로그 방식이다. 안전이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지만, 문제는 정부가 ‘안전’ ‘안전’하다 보니 국민에게는 이제 잔소리처럼 들린다는 것이다.

그래서 만든 게 ‘안전용품 언박싱’(안전용품 구매 사용법·특징 소개)과 ‘안글소’(안전한 글씨와 소리)다. 안글소는 지난 6일 첫회에서 세종특별자치시 내에 있는 전국 최대 규모 인공호수인 세종호수공원 내 정자를 무대로 제작됐다.

더위를 피해 나온 주민들 앞에서 국민안전을 글씨로 쓰고, 해설을 곁들여서 소리로 전하는 일종의 퍼포먼스다.

안글소 진행자는 안부남 훈장인데, 그 주인공은 행안부 대변인실 안전소통담당관실 공무원인 이충현(44) 사무관이다. 한국정책방송원(KTV) 14년 동안 방송기자와 MC로 활약한 경력자다. 그런데 그 서예 솜씨가 예사롭지 않다. “그 안글소에서 글 쓰는 역할은 대역아닌가요” 궁금해서 직접 물어봤다.

“하하 제가 재주가 없어서 어렸을 때 다닌 학원이 서예학원 밖에 없어요. 그런데 어찌하다가 이렇게 됐네요.” 역시 예상이 맞다. 그의 서예는 프로급이다.

그의 은사는 일중 김충현 선생의 제자인 ‘목과’(‘중산’으로 불리기도 함) 박자원 선생이다. 그 역시 일화(一華)라는 호를 가진 서예가다. 군 제대 후 대학에 복학해서는 후배들에게 붓글씨를 가르치기도 했다. 전각에도 조예가 깊다는 전언이다.

이 사무관은 “각각의 제작 형식은 달리하되 시청자 입장에서 안전을 잔소리처럼 접하기보다, 낙숫물에 옷 젖듯이 일상생활 속에서 젖어드는 효과를 노린 것”이라며 “앞으로 장소나 형식 주제를 불문하고, 찾아다니면서 쉽게 안전에 대해 일깨우도록 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실제로 15일에는 독립기념관을 찾아서 ‘광복’이라는 한자의 뜻과 의미, 그리고 태극기 그리는 법도 소개했다. 사실 건곤감리를 제대로 그리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리고 태극기의 태극 문양이 어디가 위로 올라가고 어디가 내려가는지 모르는 사람도 많은데 그 이치를 그리면서 보여준다. 눈과 귀에 쏙 들어온다.

안글소가 안전이나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스며들게 하는 것에 있다면 일단 기자에게는 성공한 셈이다.

김성곤 선임기자 gsgs@public25.com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