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변전소·환기구 안 된다”… GTX 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한강서 윈드서핑·요트·카누 즐기세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산불 예방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일부 시군 늑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공항 승객 “비행기 이착륙 때 창문 덮개 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전국 최대 부천생활문화축제 ‘다락’ 239개 단체 2229명 참여 “성황”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판소리팀 사철가 ‘떼창’ 처음 선보여 눈길… 시민주도형 축제로 발돋움

부천 수주고등학교에서 공연한 팀의 단체 사진. 부천문화재단 제공

경기 부천시민이 주인공인 생활문화 축제 ‘제5회 부천생활문화페스티벌 다락’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26일 부천시에 따르면 지난 14~25일 12일간 열린 다락행사에 총 239개 단체 2229명이 참여했고, 수주고등학교를 포함한 7개 축제 현장에는 8000여명의 시민들이 찾았다.

전국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생활문화축제로 이번 축제는 시민 주도형 축제였다. 축제 전 과정을 시민이 직접 기획해 의미를 더했고 부천생활문화협동조합 등 지역 생활문화 관계자와 시민기획자, 관계 기관 등이 축제추진단을 구성해 전 과정을 운영했다. 축제추진단은 이후 축제 평가를 수행하며 다음 축제를 위해 내실을 다질 계획이다.

여러 동호회가 직접 기획한 협업 공연 ‘부천시민이 예술가다’는 시민의 예술 창작 역량을 아낌없이 선보였다. 주요 공연은 ‘막걸리 신의 화려한 외출’로 한국무용과 색소폰·난타 등 다양한 분야 예술이 한 무대에 올라 시민 누구나 한바탕 즐길 수 있는 무대를 선사했다.

시민 누구나 축제 현장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중동과 상동 일대와 고강동 수주고까지 부천 곳곳으로 축제 무대를 넓혔다. 수주고교는 지역 최초로 운동장과 교실까지 시민에게 개방해 축제의 중심이 됐다.

부천 옛소리마당 국악예술협동조합에서 활동 중인 판소리팀은 수주고에서 진행된 공연에서 일명 떼창이라고 불리는 ‘사철가’ 북병창을 구성지게 선보여 관람객들로부터 큰 박수를 받았다. 올해 다락페스티벌에 처음 참여한 판소리팀은 다음날 부천역 마루광장에서 열린 버스킹에서 사철가 북병창을 비롯해 단가 벗님가와 춘향가의 쑥대머리, 흥보가의 대장군방, 대금산조 등 1시간 동안 열정적으로 무대를 달궜다.
24일 부천 수주고등학교에서 첫선을 보인 판소리팀이 사철가 북병창을 부르고 있는 모습.

부천 내 생활문화동호회에서 활동 중인 중동의 50대 장명희씨는 “직접 시나리오를 써 동호회 간 협업 공연을 기획하고, 실력도 선보일 수 있어 보람을 느꼈다”며 “시민이 만들어가는 축제란 말에 공감한다”고 참가 소감을 밝혔다.

축제 현장을 찾은 옥길동의 김주은(51)씨는 “다락축제를 보고 동호회 활동을 통해 생활문화를 시작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며 “생활문화도시 부천에 산다는 것이 실감 난다”고 말했다.

광명문화재단과 동두천생활문화센터, 대전문화재단 등 타 지자체도 생활문화 분야 중심지인 부천을 방문했다. 광명문화재단에서는 생활문화 체험행사를 운영하고, 동두천생활문화센터와 대전문화재단에서는 축제 관람차 찾았다.

시는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생활문화도시’로서 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예비도시로 선정된 바 있다. 2014년 기초자치단체 중 최초로 생활문화 진흥조례를 제정하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시는 관련 조례 제정 이후 생활문화 공간 7곳을 설치하고 ‘시민아트밸리’와 ‘생활문화페스티벌’ 등 생활문화 커뮤니티 활성화 지원사업을 운영해 왔다. 지난해부터는 생활문화와 문화도시 관련 사업 추진체계를 부천문화재단으로 일원화해 문화도시 지정에 힘쓰고 있다. 부천의 문화도시 최종 지정 여부는 올해 말 평가와 심의를 통해 확정된다.

부천문화재단은 오는 10월 문화정책 부문에 시민 참여를 높이고 누구나 자신의 문화적 권리를 자유로이 표현할 수 있도록 ‘시민총회’와 ‘주권파티’를 열 예정이다.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