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학대 비판에도 ‘소싸움 대회’ 강행 논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우여곡절 끝에… 새만금국제공항 내년 초 첫 삽 뜬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공공기관장 임기 만료·공석 77곳… ‘역대급 큰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강서 방화근린공원 빛의 축제 오세요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신석기로 떠나는 시간여행…유네스코 세계유산 꿈꾼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11~13일 암사동 유적 일대 ‘강동 선사문화축제’


지난해 10월 서울 강동구 암사동 유적 일대에서 열린 제23회 강동선사문화축제에서 1600여명의 주민이 참여해 선사시대 탐험을 주제로 거리 행진을 하고 있다.

독일·오만 등 해외 6개국 전문가 참여
유럽·아시아·아프리카 선사문화 체험
분장 페스티벌·유적 40주년 학술회의
“유적~한강 잇는 암사초록길 사업 고민”


가을밤의 정취가 무르익는 10월 중순 서울 강동구 암사동 유적 일대가 빛으로 물든다. 빗살무늬 토기, 물고기 형상의 한지 등(燈) 2000여개가 수놓인 ‘선사빛거리’가 선사시대로의 시간여행을 이끈다. 해외 6개국 선사유적 전문가들이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선사 문화 체험을 선사한다. 오는 11~13일 암사동 유적 일대에서 열리는 ‘제24회 강동선사문화축제’에서다.


축제장에서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며 사진 촬영지로 인기가 높은 선사빛거리의 한지 등 모습.
강동구 제공

강동선사문화축제는 서울에서 유일하게 선사시대를 주제로 한다. 이 때문에 당대의 생활상과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롭고 개성 넘치는 프로그램으로 매년 수십만명의 발길을 끈다. ‘행복해요! 선사빛’을 주제로 하는 올해 축제는 암사동 유적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염원하며 신석기인들의 일상을 3일간의 축제로 꾸몄다.

12일 오후 4~8시에 펼쳐지는 선사거리 퍼레이드와 서울 분장 페스티벌은 행사의 핵심으로 꼽힌다. 암사역 사거리에서 암사동 유적까지 차를 비운 1㎞ 구간에 선사마을을 지키는 부족들이 흥미진진한 대결에 나선다. 17개 동 주민 500여명과 100여명의 분장 예술가들이 참여해 상상력 넘치는 연출과 화려한 분장을 선보인다. 행진에는 이정훈 강동구청장도 부족장으로 변신해 말을 타고 부족을 이끌며 축제 분위기를 띄운다. 이 구청장은 “선사문화축제의 모든 프로그램이 시민 참여를 동력으로 하는 만큼 구청장 역시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구민들과 하나가 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싶다”며 “제가 망가지는 만큼 축제에 참여하는 분들이 더 큰 즐거움을 느끼실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해 처음 조성해 많은 방문객들에게 ‘포토존’으로 사랑받은 선사빛거리는 올해는 입구부터 시작해 규모를 2배 이상 키워 장관을 이룬다. 선사문화와 유적을 키워드로 내세운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들은 아이와 함께 온 가족 방문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올해는 특히 암사동 유적 4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에 참석하는 6개국(독일, 일본, 타이완, 말레이시아, 미얀마, 오만) 선사유적 전문가들의 ‘세계 선사문화 체험마당’이 열려 전 세계 선사 문화를 시연과 함께 경험해볼 수 있다.


지난해 축제를 찾은 어린이들이 불씨 만들기 체험을 하고 있다.
강동구 제공

이 구청장은 “올해 암사동 유적 사적 지정 40주년을 맞아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암사동 유적의 역사문화 환경을 잘 보존하는 한편, 암사동 유적의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힘을 모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구는 이번 축제를 디딤돌 삼아 암사동 유적과 한강을 잇는 암사초록길 사업 재개에도 힘을 쏟는다. 그는 “암사초록길 조성을 위한 주민 서명이 곧 10만명을 돌파할 전망”이라며 “최근 박원순 서울시장과의 면담에서도 긍정적인 답을 들은 만큼 암사초록길을 국내외 관광객들의 명소로 만들 방안을 다각도로 고민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9-10-07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