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변전소·환기구 안 된다”… GTX 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한강서 윈드서핑·요트·카누 즐기세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산불 예방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일부 시군 늑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공항 승객 “비행기 이착륙 때 창문 덮개 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명예기자가 간다] ‘불나면 대피 먼저’ 목숨보다 더 중요한 것 없다… 시대 맞춰 변하는 화재 캠페인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박광찬 소방청 대변인실 소방령

“아~아~ 이장입니다. 순이네 작은 딸내미가 서울에서 전화했슈. 순이 아버지 빨리 와서 전화받으슈.”

1970~80년대 시골마을 동네 스피커에서 흔히 듣던 방송이다. 모든 국민이 휴대전화를 갖고 있는 지금은 까마득한 옛날이야기로 들린다. 하지만 1980년도만 해도 100가구당 7가구 정도만 유선전화를 보유했으니 가능했던 일이다.

그럼 불이 나면 어땠을까. 전화가 충분치 않으니 당연히 신고가 늦어질 수밖에 없었다. 119 신고번호조차 모르거나 소방차가 출동하면 벌금을 낸다는 잘못된 상식으로 신고를 주저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렇다 보니 소방홍보의 중점은 ‘화재신고는 119’였다.

1980년대 후반이 되면서 유선전화보급률이 크게 높아지고 화재신고도 빨라져 신고방법과 소화기 갖기 운동에 중점을 뒀다. 이것이 과거 반세기 동안 중점을 둔 대국민 소방 캠페인이었다.

2000년대 한 가지 더 추가된 것은 바로 방마다 화재경보기를 설치하자는 운동이다. 소방홍보도 환경에 따라 점차 변하고 있는 것이다.

올해부터 적극 홍보 중인 건 ‘불나면 대피 먼저’이다. 화재 시 행동요령에 대한 국민의 인식도를 알아보려고 설문조사를 해 보니 예상처럼 국민의 절반 정도가 불이 나면 우선 119에 신고하거나 소화기로 불을 꺼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대피 먼저 해야 한다는 답변은 20% 정도에 불과했다.

우리는 그동안 대형 재난이 발생할 때마다 안전불감증이라는 수식어로 스스로를 비판해 왔지만 국민의 수준이 그 정도로 낮은 것만은 아니다. 인구수에 대비한 화재사망자만 보더라도 우리나라는 미국과 일본의 절반 수준이다. 그런데 우리에게는 한 가지 과제가 있다. 한 번의 화재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대형 화재를 없애는 것이다.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빠른 대피를 우선해야 하는 시대가 됐다. 요즘의 건축물은 구조가 복잡한 복합용도 건물이 많을 뿐 아니라 불이 붙으면 급속히 타며 유독가스를 내뿜는 가연성 내장재의 사용도 증가했다. 과거보다 신속히 대피해야 하는 이유다.

환경이 변하면 정책도 따라서 변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소방홍보사업만큼 소위 가성비가 높은 분야도 드물다. 1억원을 들인 홍보로 몇 명만 더 살릴 수 있다면 예산 투자 대비 몇 배의 효과를 거둔 것이 된다. 소방청이 ‘불나면 대피 먼저’ 캠페인을 대대적으로 벌이는 이유는 목숨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기 때문이다.

박광찬 소방청 대변인실 소방령
2019-10-16 18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