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표 안심소득… 암투병 부모님 돌보는 청년 돕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한해 농사 망치는 야생조수…제주 “피해 보상 신청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젊은 공무원 챙기기 봇물… “사기 올라” “급여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나주 주몽 드라마 세트장 ‘철거안’ 확정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정보통신업 고용 동향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 5월 정보통신업 취업자 17개월 연속 증가세
■ 정보통신업 취업자는 2년전 대비 8.4만명 증가
- 全 산업의 취업자 증가를 견인, 보건사회복지업 다음으로 2번째 높은 고용창출 -
 
【 5월 정보통신업 고용현황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2019년 5월 정보통신업(ICT서비스 및 SW산업)* 취업자가 85만 4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 9천 명 증가(2.3%)하였고 17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하였다고 밝혔다.
* 정보통신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 10차개정 기준 대분류 ‘J.정보통신업’. 정보통신은 58.출판업, 59.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60.방송업, 61.우편 및 통신업, 62.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63.정보서비스업으로 구성되며, ICT서비스 및 SW산업에 해당
 
 
【 지난 2년간 정보통신업 고용현황 분석】
 
□ 아울러 2018년 이후 악화된 고용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정보통신업 취업자의 증가요인과 고용형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 (2019년 고용현황) 2019년(1~5월 평균) 정보통신업 취업자수는 87만 명으로 2017년(연평균)과 비교하여 8만 4천 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년(1~5월 평균) 정보통신업 취업자수와 ’17년 동기간(.1~5월 평균) 비교 시 8.7만 명 증가
 
ㅇ 2017년 이후 전체 산업에서의 고용이 부진할 때, 정보통신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다음으로 큰 고용을 창출하였다.
※ 17-18년 정보통신업 취업자수(연평균) 증가는 5.5만 명으로 전산업 취업자 수 증가 9만 7천 명의 56.7%를 차지
 
(2019년 고용형태)2017년과 비교하여 2019년의 정보통신업 취업자의 고용형태를 분석한 결과, 청·장년 취업자, 10인 미만 사업체 종사자, 상용종사자 중심으로 증가하였다.
 
ㅇ 전체 산업에서 청·장년인 30-49세(△39.4만 명) 고용이 감소한 데 반해, 정보통신업의 취업자는 30-49세(5만 명)의 취업자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또한, 10인 미만 사업체에서도 고용이 감소한 전체 산업(△8만 3천 명)과 달리 고용창출(7천 명)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2019년(1~5월 평균) 정보통신업 취업자 중 상용종사자는 72.8만 명으로 2017년 대비 8만5천 명이 증가하였다.
- 정보통신업 상용종사자 수는 전체 상용종사자의 5.2% 수준이나, 전체 증가분에서 14.5%를 차지하여, 정보통신업 고용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증대 요인)이번 연구를 수행한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는 이러한 정보통신업의 고용이 증가하는 요인을 크게 ①생산증가, ②창업확산, ③새로운 일자리 출현으로 분석하였다.
 
(생산 증가) 먼저,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산업인 정보통신업 분야의 생산증가가 정보통신업의 고용을 확대시킨 요인으로 보았다.
- 통계청 서비스업 동향조사에 따르면 ’19년 1~4월 정보통신업 생산은 ‘17년 동기 대비 3.4% 증가하여, 전체 서비스 산업*(1.9%) 대비 빠른 성장을 나타내고 있으며,
* 한국표준산업분류 대분류 중 13개 산업(수도, 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업(E), 도매 및 소매업(G), 운수업 및 창고업(H), 숙박 및 음식점업(I), 정보통신업(J), 금융 및 보험업(K), 부동산업(L),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M),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및 임대 서비스업(N), 교육서비스업(P),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Q),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R),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S))
- 특히, ’19년 1~4월 소프트웨어산업의 생산은 ’17년 동기 대비 연평균 5.5% 증가하여 ICT 서비스업(2.3%)보다도 2.4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창업 확산) 더불어 4차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민간의 아이디어와 혁신의 확산으로 인한 정보통신업 관련 신설법인벤처기업 등의 증가가 고용 확대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 2019(1~5월) 정보통신업의 신설법인은 월 평균 748개로 매년 증가(’17년:월600개→’18년:월680개→’19년:월748개)*하고 있으며, 전체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7년 7.3%에서 19년 8.3%까지 높아졌다.
* 정보통신업 월평균 신설법인수: ’17년 600개(=7,199개/12월), ’18년 680개(=8,156개/12월, ’19년 748개(3=,742/5월)
 
< 신설법인 수 (단위: 개) >
구 분
2017
2019
2018
1
2
3
4
5
1-5
누적
전체
   98,330
 102,031
9,938
7,622
9,371
9,414
8,955
45,300
정보통신업
(비중)
    7,199
    8,156
828
648
784
753
729
3,742
(7.3%)
(8.0%)
(8.3%)
(8.5%)
(8.4%)
(8.0%)
(8.1%)
(8.3%)
SW
    5,124
    5,981
612
467
563
562
513
2,717
서비스
    2,075
    2,175
216
181
221
191
216
1,025
주: 신설법인은 한국기업데이터 및 나이스신용평가정보의 자료를 받아 추출한 통계자료임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기준의 자료로 SW는 KSIC 58, 62번, ICT서비스는 59, 60, 61, 63번 산업)
 
- 또한, ’19년 5월 정보통신업 벤처법인은 6,875개로 전체의 18.6%를 차지하였고, 특히 ’19년 5월 기준 정보통신업 벤처기업 수는 ’17년 대비 597개 증가하여 동기간 전체 벤처기업 수 증가의 33.9%*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기여율 산식=(정보통신업의 ’17년~’19년5월 증가분)/(전체산업의 ’17년~’19년5월 증가분)
 
< 벤처기업 수 (단위: 개) >
벤처기업 수 (단위: 개)
구 분
2017
2018
전년대비 증감
2019
1
2
3
4
5
전체
    35,282
    36,820
4.3%
  37,056
37,094
36,861
37,043
37,043
정보통신업
(비중)
    6,278
    6,736
7.3%
    6,801
    6,792
    6,779
    6,838
    6,875
(17.8%)
(18.3%)
(18.4%)
(18.3%)
(18.4%)
(18.5%)
(18.6%)
SW
    5,182
    5,530
6.7%
    5,577
    5,564
    5,559
    5,614
    5,632
서비스
    1,096
    1,206
10.0%
    1,224
    1,228
    1,220
    1,224
    1,243
주: 벤처인(www.venturein.or.kr)의 자료를 받아 추출한 통계자료임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기준의 자료로 SW는 KSIC 58, 62번, ICT서비스는 59, 60, 61, 63번 산업)
 
(새로운 형태의 일자리 출현)마지막으로, ICT 기술발전과 생산구조 변화에 따른 모바일 환경과 앱기반의 경제 확대는 SW 프리랜서, 유튜버 등 새로운 형태의 일자리가 취업자 증가의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 2019년 정보통신업 취업자 중 SW 프리랜서 규모를 6.6만여 명으로 추산하고, 2017년(4.7만여 명)과 비교할 때 큰 폭으로 증가하여, 정보통신업 취업자 증대에 SW 프리랜서의 확대가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 또한, 유튜브 등 인터넷 방송의 확대가 1인 미디어 창작자와 다중채널네트워크(MCN, Multi-channel Network) 사업*을 출현시켰고 이는 SW 산업과 온라인 및 모바일 광고시장의 확대로 이어져 다시 고용창출로 선순환되고 있다고도 분석하였다.
* MCN 사업 : 1인 미디어 창작자(크리에이터)가 만든 영상콘텐츠를 관리·유통하며 수익을 공유하는 사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용홍택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이러한 정보통신업의 취업자 증가는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 5G 플러스 전략 등 정부에서 추진한 선제적인 정책과 민간의 아이디어 혁신이 근간이 되어 이루어진 것”이라며 긍정적 평가를 하면서,
 
ㅇ “다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롭게 출현하는 일자리에 대한 고용의 질 및 안정성 측면도 지속적으로 분석파악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