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위에서 먹고 일하고 놀고 자고… 1000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20년 뭉갠 부산롯데타워, 또 지연되나… 지역사회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휠체어 끌어도, 무릎 아파도… 누구나 즐거운 ‘2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알뜰교통카드 쓰던 경기도민 59% ‘경기패스’ 전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깨끗하고 안전한 올림픽 물 공급, 평창식수전용댐 완공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 평창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 기간 중 식수공급 5만여 명 예상, 안정적 생활용수 공급 위한 식수전용댐 완공
▷ 친환경올림픽 기조에 따라 흙, 자갈 등 천연재료 활용한 필댐 건설, 올림픽 이후 대관령면 등 인근 물부족 지역 용수 공급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전병성)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 급수체계구축사업' 시설공사(이하 평창식수전용댐 구축사업)를 12월 15일 완료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번 평창식수전용댐 구축사업은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 참가 선수단과 대회 관계자, 관광객 등 5만여 명에게 안정적인 식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평창군 대관령면에 저수용량 195만 톤 규모의 식수전용댐과 시설용량 7,000㎥/일 규모의 정수장으로 구성됐으며, 도수관로 3.7㎞와 송수관로 14.85㎞를 설치하는 등 올림픽선수촌과 알펜시아 리조트 일대의 상수도시설을 확충했다.

※ 평창식수전용댐: 길이=163m, 높이=40m, 유역면적 15.30㎢, 일 공급능력 14,000㎥/일(생활용수 7,000㎥/일, 하천 유지용수 7,000㎥/일)

평창식수전용댐은 수자원이 풍부한 송천 상류의 삼양목장 내에 있으며, 총사업비 598억 원(국비 360억 원)을 투입해 2014년 12월에 착공, 36개월의 시설공사를 완료하고 12월 9일부터 담수를 시작했다.

※ 담수는 12.9부터 시작, 날씨 및 계절적 여건 등을 고려하여 봄철('18.5)까지 계속 예정

올림픽조직위 등에 따르면 평창동계올림픽 기간('18.2.9~2.25, 17일간) 급수인구는 일평균 약 5만여 명으로 추산되나, 기존의 대관령정수장(시설용량 4,000㎥/일, '82년 준공)은 취수원이 부족하고 상수관로 및 시설이 오래되어 이번 평창식수전용댐의 건설이 추진됐다.

평창식수전용댐은 친환경올림픽 기조에 따라 콘크리트 등 인공재료를 최대한 배제하고 흙, 모래, 자갈, 암석 등 천연재료를 성토하는 '흙댐(필댐)' 형태로 추진되어 환경적인 영향을 최소화했다.

* 필댐(fill dam): 토질 재료, 모래, 자갈, 암석 등을 쌓아 올려 만든 댐의 총칭으로, 경제적으로 건설할 수 있으며, 견고한 기초 암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음

전체 27만㎥ 성토용 토사 중 63%에 해당하는 17만㎥를 댐 건설을 위한 수몰지역에서 채취했으며, 점토 등 부족한 성토재는 인근 경작지내에서 구하여 산림훼손을 방지하는 데도 중점을 뒀다.

수몰지역내 수목 800그루와 구실바위취, 노랑무늬붓꽃 등 희귀식물은 댐 상류 미수몰지역에 대체조림지를 조성해 심었다.

신설정수장은 에너지소비를 최소화하도록 고저차가 큰 대관령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가압방식 대신에 자연적으로 물이 흐르는 방식(자연유하)을 도입하여 취·송수펌프 없이 원수와 정수를 공급하도록 설계했다.

* 고도 현황: 식수전용댐(표고 887m), 정수장(표고 820m), 대회관련시설(표고 730m)

에너지 절감에 따른 온실가스 감쇄 추정량은 연간 296톤으로 전력 절감량은 연간 63만 6195KWh에 이를 전망이다.

평창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 이후, 기존 대관령정수장은 폐쇄되며, 새로 설치된 평창식수전용댐 정수장에서 종전 공급지역(대관령면) 중 물이 부족한 지역과 인근 진부정수장에서 식수를 공급받던 알펜시아 지역등에 식수가 공급될 예정이다.

전병성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친환경올림픽으로 열리는 이번 평창동계올림픽에 평창식수전용댐을 통해 맑은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돼 뿌듯하다”며,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만큼 대회가 끝날 때까지 안전한 물 공급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평창동계올림픽 급수체계 구축사업 개요.
        2. 시설물 조감도.
        3. 전문용어 설명.
        4. 질의응답.  끝.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