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불안하게 느끼는 식품성분은 향과 맛을 돋우기 위해 넣는 ‘식품 첨가물’(25.7%)이었다. 이어 ‘발암성분’(21.2%), ‘중금속’(16%), ‘다량섭취 시 질병의 원인이 되는 음식’(15.5%) 등의 순이었다. 원산지 표시 준수 여부에 대해서도 ‘그렇지 않다’(57.3%)가 절반을 넘었고, 표시를 했더라도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역시 57%에 달했다.
시민들은 식품안전에 문제가 생기는 가장 큰 원인은 정부 당국의 관대한 처벌을 꼽았다. ‘안전성 위반 시 처벌조치 미약’이라는 답이 36.6%다. ‘정부차원의 감시체계가 미약’(18.6%), ‘정부의 식품안전 정보제공 미약’(5.6%)까지 합치면 60.8%로 정부의 식품안전 정책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방증으로 받아들여진다. 반면 실제 음식을 다루는 식품업 종사자들이 위생·도덕의식이 미약하다는 응답은 31.7%에 불과했다. 특히 중점 점검이 필요한 판매장소로 ‘음식점’(32.2%)에 이어 ‘대형마트’(23.7%)가 ‘재래시장’(22%)·‘정육점’(16.3%)보다 높게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식품 위생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우선 강화해야 할 분야는 ‘제조가공식품 위생점검 내실화’(22.3%), ‘농약 등 위해물질 관리강화’(21.9%), ‘식품업 종사자와 시민대상 교육 확대’(20%)로 나왔다. 이어 ‘식품정보 제공’, ‘원산지표시제 관리강화’, ‘수입식품 유통관리’가 뒤를 이었다. 식품업소 지도·점검 시에는 ‘조리장 등 주방청결성’(33.1%), ‘식품 보관상태’(25.9%), ‘반찬 재사용’(16.3%) 등을 집중 점검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시민들은 음식점을 선택할 때 ‘위생’(35.9%)보다는 ‘맛’(40.2%)을 중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 의원실은 “먹거리 안전에 대한 정부 정책들의 실효성을 높이고, 정보공개의 투명성을 높이는 등 전반적인 식품 안전 분야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시가 식품 안전관리를 위해 추진하는 식품안전추진단 활동은 60.3%가 ‘모른다’고 답변했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
2010-10-18 1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