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도 놀러 오는’ 순천만국가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대구마라톤에 세계 엘리트급 17개국 160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마다 청년 범위 들쭉날쭉… 인구구조·재정 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광·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들 캐릭터 마케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청렴의 시작은 염치를 아는 것으로부터 <서울남부보훈지청 보훈과 김상희>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시대에 따라 국가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나 신념이 다른 경우도 많다. 하지만 ‘청렴(淸廉)’의 가치는 인류 역사 이래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지 않은 적이 없다.

건전한 사회, 국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청렴(淸廉)’의 덕목이야말로 특정한 영역을 가릴 것 없이 사회 모든 분야에서 필요한 덕목이지 싶다. 그리고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공직자에게는 특히나 ‘청렴(淸廉)’의 덕목이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요소로 생각되는 건 이견이 없을 듯 하다.

그럼 ‘청렴(淸廉)’의 덕목을 갖추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염치(廉恥)’를 아는 사람이 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염치(廉恥)’를 아는 사람이 되야 하는 중요성은 예로부터 변함없이 이어져 왔다.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고 있던 조선시대 선비들의 일상생활에서는 기본적으로 예의를 갖추었는지 또는 염치를 아는지 모르는지가 중요한 평가 기준이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예의염치’는 ‘효제충신’과 더불어 선비나 백성들의 실천적 덕목으로 삼고 있는 부분으로서 특히 ‘염치(廉恥)’는 공직사회의 부정부패를 막는 근본으로 여겨지고 있었으며 염치가 없는 사람은 관료가 될 수 없다는 점에서 공직자의 기초 윤리이자 성품이었다.

또한 청렴한 관리의 표본이었던 ‘청백리’에 대해서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다음과 같이 얘기하고 있다.

“청백리 제도란 청렴결백한 관리를 양성 및 장려할 목적으로 실시한 표창제도로, 욕심많고 탐욕스러운 풍조가 활개를 치고 있으니 청백리를 표창하고 상을 주어 관료들을 고무시킨다면 「염치를 아는 기풍」이 살아날 수 있을 것”이라고.



‘염치’의 사전적 의미는 ‘체면을 차릴 줄 알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이다. 사전적 의미대로 염치없음은 부끄러워할 줄 모르는 마음에서 싹튼다. 또한 내 몫이 아닌 것을 탐내고 욕심을 내다 보면 염치없는 사람이 된다.

염치없는 사람은 자신만을 위하기 때문에, 타인의 아픔과 불편함을 이해하려고 하지도 않으며, 배려와 포용도 없다. 이런 과정에서 지연, 학연, 혈연, 권력, 재력, 직위 등과 같은 영향이 더해지면 염치없는 일이 비일비재하고 부정부패가 만연하며, 원칙이 설 자리가 없는 사회가 되는 것이다.

원칙과 공정한 룰이 적용되는 청렴하고 공정한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실력만 키우면 기회가 누구에게나 열리는 열린 사회가 되어야 한다. 이는 개개인이 살아가면서 무엇이 염치없는 행동인지를 알고 그런 행동을 경계하면서 염치없는 사람이 되지 않으려 노력한다면 자연스럽게 상식이 통하는 사회, 청렴한 사회가 되지 않을까 한다.

국민권익위원회 블로그에서 마음에 새겨야 하는 청렴 명언을 읽은 적이 있다. 그 중 맹자가 남겼던 말이 기억에 남는다.

“받아도 되고 받지 않아도 될 때 받는 것은 청렴을 손상시키고, 주어도 되고 주지 않아도 될 때 주는 것은 은혜를 손상시키며, 죽어도 되고 죽지 않아도 될 때 죽는 것은 용기를 손상시키는 것이다“


가끔 맹자의 명언을 떠올리면서, 꼭 가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면 가져야 한다는 마음을 비워보자. 염치 없는 행동이며, 청렴함을 해치는 일일 수 있기 때문이다. 욕심을 줄이면 마음이 가벼워지며 행동은 떳떳해질 것이다.

우리가 일상 생활을 하면서 욕심을 줄이고, 염치를 아는 사람이 되는 것부터 시작해서 행동한다면 청렴한 사회, 국가, 세상은 금새 우리 곁에 다가오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