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위주의 감시에서 과학화 장비 위주의 감시로
전방 GOP부대 장병들도 일과 후 휴대폰 사용으로 활발한 소통
대한민국 최전방 지역인 일반전초(GOP)는 적과 가장 인접해 있어 빈틈없는 경계작전이 요구되는 곳이다. 때문에 과거에는 병력들이 대거 철책 인근 초소에 투입돼 서서 밤을 지새야 했다면 지금은 ‘과학화 경계시스템’이 도입되며 경계작전에도 많은 변화가 이뤄졌다.
서울신문이 찾아간 경기도 연천 육군 25사단은 2016년 12월 과학화 경계작전체계가 도입되며 사람 위주에서 감시장비 위주의 경계 시스템으로 변모한 모습이었다. 기존에는 병력들이 비무장지대(DMZ) 바로 앞 감시초소에 대거 투입돼 밤낮을 가리지 않고 경계했다면 이제는 중·근거리 감시카메라와 열영상카메라(TOD), 레이더, 광망 등 과학화된 감시장비를 위주로 전방지역 감시가 이뤄지고 있었다. 25사단 상승대대 지휘통제실에 들어서자 과학화 경계시스템을 운용하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지휘통제실에서는 병력들이 각종 과학화 장비를 조종하며 전방 지역의 감시에 열중하고 있었다.
지휘통제실에 있는 장병들은 과학화 장비가 전달한 화면을 지켜보면서 DMZ에 특이상황 유무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상승대대장 소병훈 중령은 “장비에 이상이 생길 경우를 대비해 수 십여대의 카메라로 중첩 감시구역을 운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감시초소에 달린 카메라 기존 장병들이 투입됐던 감시초소 왼쪽 상단에 과학화 감시카메라가 달려있는 모습. 감시카메라는 DMZ 내의 물체를 식별하고 이를 자동으로 추적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
흰색 선으로 이뤄진 ‘광망’은 철책에 50m 단위로 촘촘히 연결돼 철책이 훼손되면 이를 인지해 상황실에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적이 침투를 위해 광망에 일정한 힘을 가하게 되면 신호가 부대 상황실에 전달돼 경보가 울린다. 광망 일정 부분에서 힘이 가해지면 광망에 흐르는 빛 신호가 변형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원리다. 광망에 힘이 가해지는 세기에 따라 신호가 달라져 상황실에서도 철책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10중대장 최신 대위는 “동물들이 광망을 물어 신호가 울릴 때도 있는데 실제상황으로 가정하고 훈련을 위해 출동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병력들은 실제상황 발생 시 초동조치가 가능한 최소한의 인원만 감시초소에 투입된다. 기존에는 대대 40여 개의 감시초소에서 장병들이 밀어내기식 근무를 통해 육안으로 DMZ 동향을 감시했다면 지금은 6개의 초소에만 병력이 투입돼 감시를 하고 있다.
더불어 철책 이상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매일 아침과 저녁 하루 2회 철책점검 작전도 실시하고 있다. 기존에 비하면 사람이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는 시스템이 줄고 과학화 경계시스템에 의한 경계 비중이 크게 늘어나게 된 것이다.
과학화 경계시스템이 도입되며 장병들의 생활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장비에 의해 경계작전이 대체되며 장병들은 그 시간에 교육훈련 등으로 시간을 보낸다.
경계작전이 효율화됨에 따라 장병들의 가용 시간도 늘어나면서 병영문화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중대 소초를 찾아가자 장병들은 생활관에서 자유롭게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었다. 일부 병사들은 침상에 편히 누워 통화를 하는 모습이었다. 다른 병사들은 모여서 휴대폰으로 외국어 학습 활동을 하는 등 각자 필요에 맞춰 휴대폰을 사용하고 일부는 병영도서관에서 독서 활동을 하는 등 다양한 활동이 이뤄지고 있었다.
양시현(23) 일병은 “장병들끼리 휴대폰으로 관심있는 정보를 찾으며 오히려 대화소재가 풍부해 졌다”며 “운동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운동방법을 찾아보는 등 자기개발에도 더욱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연천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