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학대 비판에도 ‘소싸움 대회’ 강행 논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우여곡절 끝에… 새만금국제공항 내년 초 첫 삽 뜬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공공기관장 임기 만료·공석 77곳… ‘역대급 큰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강서 방화근린공원 빛의 축제 오세요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생각나눔] 북한 돼지열병 막기 위해 DMZ 멧돼지 죽인다는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정부, 전파 우려 軍에 즉각 사살 지시

환경단체 “멧돼지는 ‘열병’ 내성 지녀 생태계만 파괴할 뿐 큰 효과 없어”

정부가 비무장지대(DMZ) 남쪽으로 넘어오는 멧돼지를 즉시 사살하라고 군에 주문했다. 반면 환경단체들은 생태계만 해칠 뿐 큰 효과가 없다고 반발하고 있다.

정부의 이번 조치는 북한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멧돼지를 통해 남한으로 전파될 것을 우려해서다. 지난 8일 이낙연 국무총리는 북한 접경지역인 강원 철원군에 있는 양돈농장과 민간인출입통제선을 방문해 이런 지시를 내렸다.

이 총리는 “군사분계선 남쪽 2㎞ 밑쪽으로 멧돼지가 넘어오는 게 분명해 보일 경우엔 사살할 수 있도록 유엔사와 협의해 동의를 얻었다”고 말했다. 지금껏 DMZ 내에서의 사격은 군사적 긴장감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자제했는데, 이례적으로 유엔사와 협의해 멧돼지의 ‘월남’을 막기로 한 것이다.

그러나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정부의 ‘멧돼지 사살 정책’은 엉뚱한 해법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멧돼지를 죽이는 것이 ASF를 막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야생동물연합은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ASF가 발병한 사례를 보면 멧돼지는 ASF에 내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졌다”며 “주로 집돼지를 중심으로 ASF가 전이된 것도 이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정부 내에서도 의문을 제기한다. 정부 관계자는 “멧돼지가 살 만한 서식지 대부분이 파괴되고, 북한 주민들이 사냥하기도 해 지금은 (멧돼지가) 거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멧돼지가 ASF를 전파할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파견된 제임스 덕워스 박사는 “북한 주민들은 고라니를 포함해 대부분의 야생동물을 사냥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오히려 해로운 야생동물을 제거한다는 이유로 멧돼지를 잡으면 생태계가 파괴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대표적인 사례가 제주도 노루다. 2013년 농작물에 피해를 준다는 이유로 도내에 자생하는 노루를 유해동물로 지정해 포획에 나섰는데 이후 개체수가 급감했다. 최근엔 노루 수가 적정 수준에 한참 못 미친다는 조사 결과까지 나왔다.노루 적정 개체수를 유지하기 위한 과학적 분석과 예측이 빗나간 셈이다.

조범준 야생동물연합 국장은 “정책을 무조건 추진할 것이 아니라 정확한 조사를 바탕으로 시행해야 한다”며 “멧돼지가 헤엄쳐서 건너온다는 말도 있는데, 병에 걸린 동물이 강을 헤엄쳐서 온다는 게 말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2019-06-11 14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