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변전소·환기구 안 된다”… GTX 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한강서 윈드서핑·요트·카누 즐기세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산불 예방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일부 시군 늑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공항 승객 “비행기 이착륙 때 창문 덮개 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건축가들이 1년간 주민과 소통… 도시재생 체감 높아졌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지난달 26일 서울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서울역을 중심으로 동서가 단절돼 서쪽 지역이 상대적으로 낙후돼 있었는데 서울로로 양쪽이 이어지고 사람들이 몰려들면서 상권이 활성화되고 동네에 활력이 생긴 게 ‘서울로 7017’ 1단계 사업의 가장 큰 성과”라고 말했다. 또 강 실장은 “골목길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통해 가장 낙후된 동네로 낙인찍힌 동네를 이제는 살고 싶은 동네로 만드는 게 서울로 2단계 연결길 사업의 최종 목표”라고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서울로 7017의 가장 큰 성과를 꼽는다면.

“가장 큰 성과는 자동차길을 사람이 걸을 수 있는 보행길로 바꾼 것이다. 길이 열리니 사람들이 모여들었고, 서울역을 중심으로 낙후돼 있던 중림동과 만리동 등 서쪽 지역의 상권도 되살아나는 등 활력을 찾게 됐다.”

-7개 보행 연결길에 각각 골목건축가를 지정한 이유와 그로 인한 장점을 소개해 달라.

“네덜란드 건축가 비니 마스가 제안한 10개 연결길 가운데 현장답사 등 검증을 거쳐 실현가능한 7개 연결길을 최종 선정했다. 연결길 조성사업에는 골목건축가의 역할이 중요하다. 골목길 재생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는 성북동과 후암동 사례를 소개하면, 건축가들이 1년간 주민들을 만나면서 어떤 곳에 쉼터를 만들면 좋을지 일일이 그림을 그렸다. 50~100명가량의 주민들을 만나면서 불편한 게 뭔지 조사해 주민들이 스스로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만든 결과 도시재생에 대한 체감도가 높아졌다. 서울로 2단계 연결길에도 지역성을 고려하고 특색을 제대로 살리기 위해 골목마다 골목건축가를 투입해 주민과 함께하는 골목스튜디오를 운영할 계획이다.”

-서울로 2단계 연결길 조성 마스터플랜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사안이 있다면.

“보행도 중요하지만 도시재생이 이뤄지는 과정을 통해 주민들에게 ‘내 동네는 내가 가꾼다’는 주인의식이 만들어질 것으로 본다. 또 주민 의견을 수렴해 각 길의 지역성을 살린다면, 특색 있고 매력적인 골목길을 만들 수 있다. 이와 함께 주변 환경개선도 지원한다. 가구당 2000만원까지 지원해 집수리를 해 주고 있다. 동시에 보행길에 대한 홍보와 안내를 통해 서울로를 찾는 관광객과 방문객이 자연스럽게 각 연결길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해 지역 활성화도 꾀할 생각이다.”

-서울로 2단계 연결길 완성 이후 계획하는 발전 방안이 있다면.

“주민들이 직접 마을에 대한 사업을 구상하고 참여해 최종적으로 주민들이 내용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겠다. 외국을 다녀보면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특색 있는 마을이 많다. 2단계 보행연결길 주변에도 그런 마을을 만드는 게 목표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9-09-04 16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