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도지사 “산업현장 인력난 심화...지역 맞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경콘진, 투자사 4곳과 ‘경기 밸류업 인베스트 파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젊은 공무원 챙기기 봇물… “사기 올라” “급여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이순신 장군 애민 정신 본받아야”…현충사 우물물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하수 의존도 81%’ 제주도…한라산 청정수 보전에 올인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수질 모니터링·평가 체계 구축 나서


제주시 도두마을에서 용천수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용천수는 땅 밑에서 지하수가 암석이나 지층의 틈새를 통해 지표면으로 솟아 나오는 물로 섬 지역인 제주의 주요 수자원이다.

화산섬 제주는 천혜의 자연환경으로 청정 지하수를 자랑한다. 하지만 개발 바람 등으로 중산간지역 지하수 환경 악화가 우려되는 실정이다.

29일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지역 연간 수자원 이용량은 2억 9900만㎥ 규모로 이 가운데 지하수가 2억 4400만㎥로 81%를 차지한다.

이처럼 제주는 지하수 의존도가 전국에서 가장 높아 지하수의 효율적 배분과 합리적 이용, 청정 수질 유지 등 지속가능한 지하수 관리가 도정의 핵심 과제다. 제주도는 선순환적인 지하수 수질관리 체계 마련을 위해 올해 ‘지하수 수질 모니터링·평가체계 구축 용역’을 추진한다.

도는 이번 용역에서 지하수의 장기 수질관리를 위한 최적의 모니터링 방법을 도출하고, 사후관리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용역은 환경 분야 국책연구기관인 환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수행하고 있다.

도는 그동안 타 시도보다 강화된 지하수 관리 제도를 운영하고 있음에도 제도화된 수질 모니터링 체계가 없어 지하수 관리의 연속성과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도는 지하수 수질 오염 실태를 분석해 적정 관측밀도 설정과 기준 마련, 수질 자료 활용과 평가방법 도출, 최적의 모니터링 방안 제시와 제도화 등 기준과 원칙을 세울 계획이다. 특히 오염도에 따른 지역별 모니터링을 확대하고 오염취약지역 선정 기법 마련 등 국가 지하수 측정망과 해외 사례 벤치마킹 등을 통해 지하수 수질 오염 기준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제주 물산업을 선도하는 먹는샘물 삼다수 생산업체인 제주도개발공사도 지하수 취수원을 보다 체계적으로 보전 관리하기 위한 방안에 착수했다. 공사는 올해 ‘제주삼다수 취수원 보전·관리 방안 연구’ 용역을 통해 삼다수 취수원지역인 서귀포시 표선유역과 삼다수유역을 구분해 지하수영향조사를 할 계획이다. 또 삼다수의 수량과 수질을 파악하기 위해 중점 관리해야 할 삼다수유역을 명확히 설정하고 지형과 지질, 토양, 비포화대, 지하수위, 지하수 함양, 수문지질 특성을 고려한 지하수 위협요인(오염취약) 등도 연구한다.

특히 삼다수 취수원지역 등을 ‘샘물보전구역’으로 지정해 관리를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먹는물관리법에는 시도지사가 샘물의 수질 보전을 위해 샘물보호구역을 지정, 관리와 규제를 강화할 수 있다. 샘물보호구역 지정은 토지주 등 주민들의 반대가 있을 수 있어 공감대가 우선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문경삼 제주도 환경보전국장은 “이번 용역을 통해 제주의 지하수 수질관리 체계를 정비·개선해 한정된 지하수 자원의 보호와 지속이용 가능한 체계적인 수질관리의 틀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글 사진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2021-04-30 14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