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장관님은요~ㅇㅇㅇ형”
업무보고로 본 부처 분위기
장관이 바뀌면 공무원들은 가장 먼저 ‘보고받는 스타일’부터 수소문한다. 어떤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압박 질문을 하진 않는지, 어떤 식으로 ‘깨는지’ 등이 관심사다. 장관 업무보고가 원활하면 조직에 생기가 돈다. 반면 보고를 두렵게 여기는 공무원이 늘면 해당 부처의 공기도 무거워진다. 부처별 업무보고 스타일을 들여다봤다. ●최상목 부총리-취지 중시 ‘가성비형’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시간의 가성비를 뜻하는 ‘시성비’를 중요시한다. 불필요한 보고는 질색한다. 일요일마다 하던 정책점검회의를 없앴다. 국장급 공무원은 “휴일이 하루 더 생긴 기분”이라고 했다. 간부의 회의 참석을 돕기 위해 토요일에 일했던 사무관들은 ‘주말이 있는 삶’을 체감하는 중이다. 토론과 논쟁도 수시로 벌어진다. 최 부총리는 숫자보다 정책 본질과 논리, 취지를 중시한다고 한다.
●이종호 과기-궁금증 파는 ‘학구파형’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학구파다. 주말에 탐독한 ‘미래 먹거리’ 논문에서 얻은 아이디어를 월요일 실장급 회의에서 풀어놓고 의견을 구한다. 업무보고를 받을 때도 궁금증을 끝까지 풀고야 만다. 취임 이후 화를 낸 일이 없고, 직급과 관계없이 존댓말을 쓴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형식보다 내용을 중시한다. 보고서를 미리 받아 검토하고 필요할 때만 대면보고를 진행한다. 직원 부담을 덜려는 의도다. 경제학 전공자답게 수치에 밝고, 통계를 활용한 과학적·객관적 근거를 중시한다. 그의 ‘송곳 질의’는 직원들을 진땀 흘리게 만든다.
●박상우 국토-문제 즉각 해소 ‘해결형’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해결사형’이다. 현장에서 발견한 문제는 즉각 해결해 낸다. 보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고자 사전에 보고서를 검토한 뒤 자신만의 요약본을 만들어 필요한 내용만 담당자에게 묻는다. 팩트가 틀리면 따끔하게 질책하지만 뒤끝은 전혀 없다는 후문이다.
●오영주 중기-A4 한 장으로 끝 ‘효율형’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효율을 중시한다. 취임하자마자 쓸데없이 보고서 꾸미는 데 힘 빼지 말 것을 주문했다. A4 한 장이면 됐지, 굳이 파워포인트(PPT) 자료를 왜 만드느냐는 것이다. 공무원 사회의 형식주의를 타파하고 직원들을 편하게 해 주려는 의도다.
●이상민 행안-질책보단 조언 ‘겸손형’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겸손한 리더십’으로 정평이 나 있다. 보고받을 땐 충분히 들은 뒤 마음에 안 들어도 꾸짖기보단 조언한다. 한 직원은 “공무원은 기가 살아야 소신껏 일한다는 걸 잘 아는 것 같다”고 말했다. MZ세대나 온라인에서 유행하는 말을 쓰는 등 젊은 감각을 드러내기도 한다.
●송미령 농림-예리하게 짚는 ‘꼼꼼형’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꼼꼼함이 특징이다. 보고서 한 줄의 의미를 놓치지 않고, 실무자가 챙기지 못했던 부분까지 짚어 낸다. 경직된 보고가 조직을 위축시킨다는 생각에 회의 분위기를 농담으로 풀어낸다.
●안덕근 산업-칭찬 잊지 않는 ‘온화형’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보고서를 잘 만들었다”, “고생 많이 했겠다”는 말로 사기를 북돋워 주면서도 필요한 코멘트는 빼놓지 않는다. 산업부 직원들은 서면보고보다 대면보고를 더 선호한다. 한 관계자는 “인자한 아버지 같았다”고 평가했다.
●조규홍 복지-현안 두루 듣는 ‘경청형’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경청’이 몸에 뱄다. 보고를 충분히 듣고 나서 부족한 사항을 짚는다. 최근에는 의대 정원, 필수의료 등 현안이 산적해 주말에도 보고받는 일이 잦아졌다.
●한화진 환경-하나하나 체크 ‘분석형’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합리적 분석가’다. 업무보고는 현안을 중심으로 하나하나 체크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세종 이영준 기자·부처종합
2024-02-07 1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