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학대 비판에도 ‘소싸움 대회’ 강행 논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우여곡절 끝에… 새만금국제공항 내년 초 첫 삽 뜬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공공기관장 임기 만료·공석 77곳… ‘역대급 큰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강서 방화근린공원 빛의 축제 오세요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2023년까지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2023년까지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
인공지능·블록체인 등… 지능정보기술 적용
기관별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전자조달시스템 통합도 병행


□ 나라장터가 완전히 새롭게 다시 태어난다.
○ 조달청(청장 정무경)은 나라장터(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이하 나라장터)를 전면 개편하는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사업'을 2023년까지 추진한다.
○ 나라장터는 조달업무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처리하는 범정부 전자정부 플랫폼으로 지난 2002년 전자정부 사업의 하나로 구축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 나라장터 운영 현황(<첨부1> 참조)
- 거래규모 : (2003년) 36.2조원 → (2019년) 102.8조 원
- 등록 수요기관 : (2003년) 25,529개 → (2019년) 57,734개
- 등록 조달기업 : (2003년) 92,042개 → (2019년) 434,062개
- 전자공고 건수 : (2003년) 140,000건 → (2019년) 436,188건

□ 하지만 2002년 개통 이후 나라장터는 부분적인 개선·보수만 함에 따라 장애 급증, 속도 저하 등 안정성 측면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으며, 수요기관과 조달기업 사용자들은 불편을 호소해왔다.
○ 지난해만 해도 문서 유통 5천만 건, 하루 최대 투찰 41만 건에 달해 장애 발생이 90건이나 되었다.
○ 또한 현재 나라장터에 적용된 기반 기술로는 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웠다.
○ 별도의 전자조달시스템을 구축·운영하는 공공기관들이 있어 예산이 중복 투입되고 조달기업이 여러 시스템을 이용해야 하는 비효율성도 지적되어 왔다.

□ 조달청은 종전과 같은 부분적인 개선·보수만으로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어렵다고 보고 장기적인 계획 하에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사업을 준비해왔다.
○ 2018년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을 통해 현황과 문제점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그에 따라 구축 방향과 사업 범위를 결정했다.
* ISP :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비용편익분석(B/C), 1.21)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인정받고, 초기 분석설계(ISMP*)를 위한 예산 20억 원을 확보했다.
* ISMP : 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 또한 자체 전자조달시스템 통합을 위해 2014년부터 전자조달협의체를 운영하여 각 기관과 의견을 조율해 왔으며, 2018년 12월에 전자조달법을 개정하여 통합의 법적 근거도 마련했다.

□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사업은 △사용자 지향 △최신 지능정보기술 도입 △전자조달 창구 일원화를 주 내용으로 한다.
○ (사용자 지향) 먼저 노후화된 기반기술을 재설계하여 사용자들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운영의 안정성도 높인다.
- 직관적이고 최적화된 사용자 경험(UX) 기반으로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고, 일부 업체 심사 등 그 동안 수기로 처리했던 절차도 온라인 처리로 전환한다.
- 또한 700여 종에 달하던 전자문서 정비, 문서용량 감소 등을 통해 문서 유통량을 줄이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사용자 증가에 따른 장애·오류, 속도 저하 등 안정성 문제를 해소한다.
○ (최신 지능정보기술 도입)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여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을 선제적으로 적용하여 더욱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 그 동안 축적해온 방대한 데이터와 AI를 활용하여 지능형 입찰정보 분석1), 지능형 상담2), 계약위험 분석3) 등의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1) 수요기관, 조달기업에 유사사업 공고, 유효경쟁 가능 여부, 입찰자 수 예측 등 정보제공
2) 민원인과 상담원의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도에 부합하는 답변 추천
3) 계량·비계량 정보를 종합하여 계약불이행 등 위험도를 사전에 경고
- 블록체인 기술도 활용한다. 입찰·계약 관련 문서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계속 활용해야 하는 서류는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재활용함으로써 반복 제출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 (자체 전자조달시스템 통합) 각 기관의 자체 전자조달시스템을 단계적으로 나라장터로 통합하여 전자조달 창구를 일원화한다.
- 일반적인 조달 업무는 표준 절차를 이용하고, 휴게소 입찰, 임대 등 기관별로 특화된 조달 업무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 26개 자체 조달시스템 운영기관 중 23개 기관의 시스템 통합이 목표다.

□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 일정은 2023년까지 개통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 올해는 초기 분석설계(ISMP)를 통해 업무 분석설계, 정보화 요소 발굴, 자체 전자조달시스템 통합 기준 마련 등을 수행하고, 구축비 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다.
- 구축비는 총 1,320억 원(예타 결과 기준)이며, 연도별로 내년은 359억 원, 2022년은 474억 원, 2023년 487억 원으로 계획돼 있다.
○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구축사업을 시작하게 되는데 자체 전자조달시스템 통합은 충분한 검증 과정을 거쳐 2023~2025년 기간에 단계적으로 서비스를 개시하게 된다.
○ 조달청은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을 위해 지난 2월 10일 8명으로 추진단(TF)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 구축이 본격화될 내년부터는 추진단을 3개과 규모로 확대하여 운영할 예정이다.



□ 정무경 조달청장은 "나라장터는 공공조달의 핵심 인프라고, 많은 수요기관과 조달기업이 사용하는 만큼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도록 최대한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 말하고,
○ "특히 올해는 초기 설계분석을 하는 해인만큼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기술 발전, 사용자 요구 다변화, 혁신조달 등 공공조달의 역할 변화 등 시대의 요구에 맞는 명실상부한 차세대 시스템의 밑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별첨] 1. 나라장터 개요 및 현황
2. 차세대 나라장터 목표 모델
3. 신기술 적용(예시)

* 문의: 전자조달기획과 박한도 팀장(042-724-7296)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