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도지사 “산업현장 인력난 심화...지역 맞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경콘진, 투자사 4곳과 ‘경기 밸류업 인베스트 파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젊은 공무원 챙기기 봇물… “사기 올라” “급여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이순신 장군 애민 정신 본받아야”…현충사 우물물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올해 공공공사… 33조 2,471억원 발주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올해 공공공사… 33조 2,471억원 발주
상반기 70% 조기발주, 경제활성화 및 일상회복 지원




□ 조달청이 올해 33조 2,471억 원 상당의 공공공사 발주로 경제 활성화 지원에 나선다.




□ 조달청(청장 김정우)은 27일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서 발주할 2022년 공공부문 시설공사 발주계획을 발표했다.
 ㅇ 올해 시설공사 집행계획 규모는 33조 2,471억원으로 지난해의 31조 9,785억원보다 4% 증가한 수준이다.
 ㅇ 이 중 조달청을 통해 집행하는 중앙조달은 9조 2,247억원이며, 나머지 24조원은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이 개별 시스템이나 나라장터를 통해 자체 발주할 예정이다.
 ㅇ 특히 총 발주금액의 70%인 23조 2,722억원은 경제 활성화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올해 상반기에 조기 발주할 계획이다.




□ 2022년 공공부문 시설공사 발주계획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지방자치단체는 12조 1,960억원으로 지난해 10조 9,611억원 대비 1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주요 발주기관은 경기도(2조 285억), 광주광역시(1조 3,388억), 전라남도(1조 1,988억), 강원도(8,779억) 등이다.
 ㅇ 공공기관은 16조 7,580억원으로 지난해 16조 5,738억원 대비 1.1% 늘어났다. 이는 철도 분야 및 에너지관련 사업의 신규 발주 물량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 주요 발주기관은 한국전력공사(3조 4,538억), 국가철도공단(3조 477억), 한국수자원공사(2조 4,296억), 한국도로공사(1조 8,124억) 등 이다.
 ㅇ 중앙행정기관은 4조 2,931억원으로 지난해(4조 4,436억원) 대비 3.4% 감소했다. 
  - 주요 발주기관은 국토교통부(14,589억), 해양수산부(13,829억), 법무부(4,145억), 교육부(1,302억) 등 이다.




□ 2022년 시설공사 발주계획 공개금액 중 조달청 발주규모(중앙조달)는 지난 해(9조 9,075억원) 대비 6.9% 감소된 9조 2,247억원이다.
 ㅇ 중앙행정기관은 도로시설 및 항만분야 등의 발주물량의 증가로 지난해 3조 6,744억원 대비 올해는 4조 975억원으로 11.4%(4,201억원) 증가했다.
 ㅇ 지방자치단체는 도시철도 건설 등의 사회기반시설(SOC) 사업 물량 감소로 지난해 3조 9,048억원 대비 3조 7,468억원으로 4.0%(1,580억원) 감소했다.
 ㅇ 공공기관은 지난해 2조 3,253억원 대비 1조 3,804억원으로 40.6%(9,449억원) 감소했다.




□ 강성민 시설사업국장은 "올해 발주계획에는 발주기관, 발주시기, 공사규모 등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어 건설기업의 영업수주전략 수립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ㅇ "조달청 발주 예시 금액의 70%인 23조 2,722억원이 상반기에 조기발주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는 등 코로나19로 침체된 경제를 활성화와 일상회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 한편, 조달청 발주계획 공개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 21일까지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조달청 나라장터 시스템에 등록한 자료를 집계한 것으로, 국가계약법령 등에 근거하고 있다.




* 문의: 예산사업관리과 하태선 사무관(042-724-7239)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