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발한 억새꽃을 보기 위해 주말과 휴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공원 하늘공원을 찾은 시민들은 귀가를 하면서 적잖이 당황했다.
지난 23일 하늘공원에서 월드컵공원 진입로… 지난 23일 하늘공원에서 월드컵공원 진입로로 내려가는 계단에 시민들이 몰려 발디딜 틈조차 없어 보인다. 이곳에는 조명등이 없어 해가 지면 실족 등 사고가 우려된다. |
하늘공원에서 공원 진입로로 내려가는 계단에 공원등(공원을 밝히기 위한 조명시설) 하나 없어 계단을 내려오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폐장시간을 앞두고 계단으로 내려오려는 시민들의 줄이 50∼60m에 이르면서 밀고 밀리는 실랑이를 벌이기도 했다. 계단 진입부는 야경사진을 찍으려는 일부 시민들 때문에 실족이 염려될 만큼 위험했다.
●야경 즐기는 인파 붐벼 실족 위험
월드컵공원 가장 높은 곳에 자리잡은 하늘공원(해발 98m)은 난지도 제2매립지에 조성된 면적 5만 8000평의 초지(草地)공원이다.
서울시는 지난 2002년 공원 조성당시 이 지역에 억새, 띠, 엉겅퀴 등을 심는 한편 제비나비, 호랑나비 등 3만 마리 이상의 나비를 풀어 서울의 대표적인 생태학습공원으로 꾸몄다. 공원시설에 전기를 공급하는 30m 높이의 풍력발전기 5대도 하늘공원의 볼거리다.
하늘공원에 심은 억새가 꽃망울을 터뜨리는 매년 10∼11월에는 억새꽃이 만발해 많은 시민들이 이곳을 찾는다.
월드컵공원 관리사무소 측은 “올가을 억새축제를 전후로 하늘공원을 찾는 시민들의 수는 평일 1만∼2만명선, 주말·휴일에는 15만∼20만명선에 이른다.”고 말했다.
이번에 불거진 문제는 특정기간에 이용객이 집중되면서 발생된 것이다.
공원측은 주말 이용객이 몰려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 계단은 하늘공원에서 공원입구로 내려가는 사람만 사용하게 하고, 올라갈 때는 순환로를 이용토록 하고 있다. 이용시간도 오후 7시까지 제한하고 있다.
●안내원도 안전요원도 없어
이같은 조치에도 불구하고 오후 늦게 공원을 이용하는 시민들에 대한 배려는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23일 친구들과 공원을 찾은 박예리(26·여·회사원)씨는 “계단쪽으로 향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 마치 출퇴근 시간 정체된 자동차도로를 연상케 했다.”며 “이럴 때 발을 헛디딘다면 쉽게 압사사고가 날 것 같다.”며 불안감을 나타냈다.
5살 큰딸과 3살 아들을 데리고 온 김현중(36·자영업)씨 역시 “낮이 짧아지는 요즘은 오후 5시만 돼도 주위가 어스레하다.”며 “공원등을 설치할 수 없다면 계단 중간중간에 안내원이라도 배치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불만을 나타냈다.
●“조명시설은 생태계에 악영향”
이에 대해 월드컵공원 관리사무소 측 관계자는 “오후 10시까지 공원을 개방한 억새축제 기간에는 계단에 임시조명을 설치했지만 축제가 끝난 지금은 오후 7시 전후로 관람객들이 다 빠져나가므로 조명설치 계획이 없다.”면서 “특히 공원등을 설치하면 야간 생태계에 인위적인 영향을 줘 현재 설치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글 고금석기자 ksko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