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함형구 고성군수는 13일부터 16일까지 이어지는 ‘왕곡마을 전통민속재현·체험행사’알리기에 분주하다.
한마을 가옥 전체인 52채가 기와집과 초가집으로 형성된 왕곡마을에서 옛 방식 그대로 전통생활과 민속놀이를 체험할 수 있도록 행사를 준비했다.
왕곡마을은 150여년 전에 형성된 전통마을로 마을 전체가 국가지정 중요민속자료(235호)로 지정돼 있다.
함 군수는 “마을을 찾으면 타임머신을 타고 100여년 전의 구한말로 돌아간 듯한 착각에 빠진다.”면서 “안동 하회마을은 잘 알려져 있지만 정작 고성 왕곡마을은 아는 사람이 적어 이번 행사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행사장에서는 디딜방앗간 체험을 비롯해 벼 베기, 벼 탈곡, 도리깨질 등 전통방식 그대로의 농사체험을 해 볼 수 있다.
절구질이나 떡메 치기, 왕곡주 시음, 한과 만들기, 용두래 체험 등 전통생활체험도 가능하다.
|
상여 외나무다리 건너기놀이, 윷놀이, 전통혼례체험, 목판인쇄 재현과 마당놀이, 널뛰기, 투호놀이, 비석치기 등 행사장에서 체험할 수 있는 전통놀이는 무려 45가지에 이른다.
마을 뒤로 오봉산이 병풍처럼 솟아 있고 앞으로는 송지호와 동해바다가 그림처럼 보이는 이곳 왕곡마을 곳곳에는 놋다리와 허수아비가 세워지고 왕곡장터와 왕곡 농수산물 재래장터가 재현돼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
함 군수는 “지난해와 올여름 휴가철 마을에서 체험행사를 열어 호응을 얻었다.”면서 “단풍 관광철을 맞아 마을에서 3번째 갖는 행사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앞으로 기회가 될 때마다 행사를 열어 관광객들에게 전통마을을 알리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가족과 어린이, 청소년들이 찾는 전통체험 교육장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 가족동반 여행객 모집과 수학여행단 유치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사람이 사는 집도 구경이 가능하지만 사람이 살지 않고 군에서 매입해 놓은 전시가옥 7동을 활용해 수시로 관광객들이 찾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이곳 가옥들 대부분이 부엌과 소우리가 함께 있는 북방식 ‘ㄱ’자집으로 청소년들에게는 살아 있는 교육현장으로 각광을 받을 전망이다.
행사기간뿐 아니라 마을을 찾는 사람들은 언제나 무료 관람이다. 다만 행사때마다 문화재청으로부터 복권기금의 일부인 1억∼1억 2000만원 정도의 지원이 따르고 있다.
함 군수는 “민속을 보존하고 있는 지역주민들에게는 수익을 안겨주고 관광객들에게는 추억과 전통체험을 맛볼 수 있는 행사로 키워 나가겠다.”고 말했다.
고성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2005-10-13 0:0: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