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담양군은 인구유입과 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원주택지 개발을 31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특징은 택지개발 주체와 방식을 민간주도형으로 바꾼 것. 동호인들이 택지를 매입하고, 자치단체는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을 갖추는 ‘윈윈 전략’을 통해 입주민들의 빠른 정착을 꾀하고 있다.
군은 지난 1998년 금성면 1만여평에 ‘문화마을’ 조성사업을 마치고 43필지의 택지분양에 나섰으나 지난해에야 겨우 분양이 끝났다. 그러나 현재 4∼5가구만 들어섰을 뿐 나머지는 빈 땅으로 방치돼 있다.
군은 이같은 경험에 따라 입주예정자가 부지선정과 매입을 맡고 군은 기반시설을 갖춰주는 방식으로 전환, 미분양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수북면 궁산지구 7000평의 전원마을은 전문직종에 종사하는 동호인들이 참여,100% 분양을 마쳤다.
20가구가 들어서며, 광주와는 차량으로 10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군은 또 지난해 창평 유천지구 착공에 이어 올해 창평 용수지구와 금성 대성지구 조성에 들어갈 계획이다.
유천지구는 9000여평에 31가구가 들어설 예정이며 단지 진입도로와 상·하수도 시설, 마을 오수처리시설 등은 군이 부담하고 입주자는 취향에 맞춰 건축과 조경 등을 하면 된다.
각 50가구와 20가구가 들어설 2만여평과 9000여평 규모의 용수지구와 대성지구는 실시설계가 마무리되는 대로 다음달 공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군은 이미 담양읍과 창평, 봉산면 등 5개 읍·면 31개 지구를 전원주택 건축부지 대상지역으로 정하는 등 사업확대에 나서기로 했다.
군 관계자는 “맞춤형 전원주택 사업은 친환경 개발, 인구유입과 세수증대 등 일석삼조의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