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인들이여 넥타이 매고 뛰어!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종로 삼청공원에 목조 놀이터 짓는다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도봉, 쌍문동 자투리땅에 주차장 19면 조성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청춘은 바로 지금… 중구 ‘청바지학교’ 인기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통계로 본 서울] (25) 의료기관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일생 동안 병원 신세를 지지 않고 건강하게 산다는 것만큼 행복한 삶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각종 질병에 노출된 채 도심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는 사실상 불가능한 일에 가깝다.

환경 오염에 따른 각종 질병이 생겨나는데다 도심생활로 인한 스트레스 등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시민들에게 매년 한차례 이상의 정기 건강검진은 반드시 거쳐야 할 연중 행사가 됐다.

의사등 의료진 8만 5000여명

2005년 서울통계연보에 따르면 2004년 말 현재 서울시내 병원수는 1만 2904개에 이른다. 매년 꾸준하게 늘어나 5년전인 1999년 1만 233개에 비해 2000개 이상 늘었다. 병상수도 6만 1556병상에 이른다.25개 자치구에는 보건소가 1개씩 있다.

의료기관 종사자는 모두 8만 4971명으로 의사 2만 197명, 치과의사 5107명, 한의사 3436명, 약사 946명, 간호사 2만 4133명, 간호조무사 1만 8510명 등이다.

병원은 일반적으로 진료과목과 병상수에 따라 종합병원과 병원, 의원 등으로 분류한다. 종합병원은 대개 입원환자 1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내과, 일반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등 9개 이상의 진료과목과 각과마다 필요한 전문의를 갖춘 의료기관을 일컫는다. 서울에는 62개의 종합병원이 있으며,6만 1556병상을 갖추고 있다.

병원은 30병상 이상, 의원은 30병상 이하의 의료기관이다. 병원은 116개소 9405병상, 동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의원은 6283개소 1만 5863병상을 갖추고 있다.

또 치과병·의원 3787개(82병상), 한방병원 33개(2105병상), 한의원 2607개(54병상) 등이 있다.

구별로는 병원 수는 강남구가 1656개로 가장 많고, 이어 서초구 770개, 송파구 745개, 동대문구 586개, 강동구 565개, 관악구 557개 등이다. 종합병원은 영등포구가 7개로 가장 많고, 종로·동대문·강남구가 각각 5개로 조사됐다.

최초의 서양식 병원은 광혜원

최초 서양식 병원은 1885년(고종 22년) 2월 29일에 서울 재동에 건립된 광혜원. 그렇지만 한방의료 기관으로는 서기 1000년경인 고려 목종때 태의감과 상약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태의감은 국립 의료 기관으로 왕실의 의약과 질병 치료를 맡았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고려시대 혜민국(1112년)을 계승한 서민의료기관인 혜민서(1392년)와 제생원(1397년·태조 6년), 동서활인원(1466년) 등이 설치됐다.

광혜원은 1885년 제중원,1900년 광제원,1907년 대한의원으로 각각 개칭됐다. 한국 최초의 근대식 건물로 신축된 대한의원(서울 지방문화재 248호)은 일제시대 경성제국대학 부속병원으로 변신했다.

한 때 근대 병원 원조 논쟁이 일면서 연세대와 서울대 의대가 각각 광혜원의 전신임을 주장했다. 한편 광복 이후에는 국립의료원과 국립정신병원, 국립결핵병원, 국립나병원 등이 설립됐다.

눈속임 병원간판 주의

병·의원에는 전문의와 일반의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 국가고시에 합격하면 일반의가 되고, 이후 4∼5년 동안 인턴과 레지던트를 거친 뒤 전문의 시험에 합격해야 전문의가 된다. 따라서 전문의는 특정 분야의 전문 의사로 보면 된다.

따라서 전문의가 있는 병원은 ○○내과,△△성형외과 등으로 전문의 과목이 간판에 적혀 있다. 전문의가 아닌 일반의 병원은 ○○의원 내과,△△의원 성형외과 등 전문과목이 ‘의원’ 뒤에 붙어 있다. 그러나 간판 내용이 비슷해 일반사람들은 헷갈리기 쉽고, 일부에서는 ‘의원’이라는 글씨를 작게 적어 구분할 수 없게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장애인 자립 돕는 마포 ‘든든한 카페’

구청 지하 1층 ‘누구나 카페’ 문 열어 창업 실무 경험 제공… 수익도 배분

동작 “어르신들 효도 장수사진 찍어드려요”

65세 이상 대상… 액자도 제작 지역사진관 31곳과 업무협약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