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9일 법학적성시험 홈페이지(www.leet.or.kr)를 통해 채점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응시자는 7천625명으로 작년(7천411명)과 비슷했다.학부전공 계열별로는 법학계열이 전체의 42.6%인 3천252명으로 작년(34.5%)보다 점유율이 더 높아졌다.
이어 상경계열(12.9%),인문계열(11.5%),공학계열(11.1%),사회계열(11.0%) 순이었다.
남녀비율은 남자가 61.1%로 많았고 연령별로는 26~28세가 33.4%로 가장 많은 가운데 35세 이상 고령 응시자도 11.9%(906명)나 됐다.
채점 결과 영역별 점수분포를 살펴보면 표준점수 최고점이 언어이해 영역은 70~75점인 반면,추리논증 영역은 10점이나 높은 80~85점이었다.추리논증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높다는 것은 문제가 더 까다로웠다는 뜻이다.
표준점수는 응시자 집단에서 해당 수험생의 상대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점수로 시험이 어려워 평균점수가 낮아지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높아진다.
교육과정평가원 이명애 연구팀장은 “올해 3년째를 맞지만 수험생에게 추리논증이 아무래도 생소하고 까다로운 면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로스쿨 관련 학원들도 추리논증 영역에서 법적 논변을 다룬 문제가 많이 출제돼 수험생이 어렵게 느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