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月 496건으로 늘어…검찰 기소율은 1.5%P 줄어
공무원 사회에 대한 감찰 강화 등 직위 남용 비리를 줄이기 위한 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련 범죄가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올 들어 오히려 증가했다.서울신문이 27일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대검찰청으로부터 입수한 2011~2012년 공무원 범죄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월평균 488.8건 발생하던 공무원의 직무관련 범죄는 올 들어 8월까지 496.6건으로 1.6% 증가했다. 반면 공무원 직무관련 범죄에 대한 검찰의 기소율은 지난해 8.9%에서 올해 7.4%로 감소했다. 범죄는 느는데 사법처리는 줄어든 것이 오히려 공무원 범죄 증가를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무원 직무관련 범죄란 직권남용, 알선수뢰, 뇌물공여, 공금횡령, 공무상비밀 누설 등이다.
법원·법무부 등 힘있는 기관 소속일수록 범죄 기소율이 낮은 현상은 올해에도 여전했다. 올해 전체 595건의 직무 관련 범죄가 접수된 법무부의 기소율은 0.8%에 그쳤고 117건이 접수된 법원과 8건이 접수된 헌법재판소의 기소율은 각각 0%였다.
지방자치단체의 월평균 직무관련 범죄는 경기도가 36.0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23.0건, 전북 17.6건, 전남 15.9건, 경남 15.8건, 강원 14.1건, 경북 13.0건, 충남 8.0건, 충북 7.9건, 광주 6.0건, 부산·인천 5.6건, 제주 3.4건, 대전 3.0건, 대구 2.9건, 울산 2.5건 등 순이었다.
배경헌기자 baenim@seoul.co.kr
2012-09-2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