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행부, 전국연합회 워크숍… 홍보강화·교류확대 등 논의
“정부 지원만을 바랄 게 아니라 우리 스스로 착한가격업소를 일으킬 수 있어야 합니다. 지금은 정기 회비를 내는 전국 17곳 시·도 착한가격업소 대표들에게만 홍보물을 지원하고 있지만, 이를 시·군·구 단위로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지난 26일 인천 부평구 부평아트센터에서 열린 ‘착한가격업소’ 전국연합회 워크숍에서 정태옥(오른쪽에서 네 번째) 안전행정부 지역발전정책관이 착한가격업소 마케팅 지원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안전행정부 제공 |
워크숍에서는 착한가격업소 홈페이지 개선 등 홍보 강화 및 전국 네트워크 결성을 통한 교류 확대 방안 등이 논의됐다. 참석자인 김판중 충남 대표는 “다음 달 새로 열릴 예정인 착한가격업소 홈페이지와 전국 착한가격업소들을 각각 소개하는 홈페이지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홈페이지 구축 업무를 맡은 박정일 애니모비 이사는 “새로 만드는 홈페이지에 전국 착한가격업소 홈페이지 주소를 링크하고 디자인에서도 홈페이지 간 통일성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착한가격업소’ 글자가 적힌 멸균 물티슈를 보급하고 스티커 홍보물 부착 범위를 넓히자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청 전국연합회장은 “안행부가 배포한 착한가격업소 표찰은 크기가 작아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에 커다란 스티커를 만들어 유리, 벽면, 바닥 등 곳곳에 붙여야 한다”고 밝혔다.
또 전국 모든 착한가격업소로부터 회비를 걷자는 방안을 놓고 제주시 공무원은 “전국 착한가격업소 6500여곳에서 모두 10만원씩 회비를 낸다면 약 7억원의 자금이 모인다”면서 “투명한 예산 집행을 위해 연합회와는 별도로 관리기구를 설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국연합회 차원의 자체 노력과 더불어 안행부는 서비스 품질 기준 표준화, 서비스 가이드라인 마련 및 준수 여부 감독 강화 등을 통한 마케팅 지원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착한가격업소가 분기마다 마케팅 전문 업체로부터 컨설팅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착한가격업소는 안행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인증한 우수 물가안정 모범 업소로, 지난해 말 기준으로 총 6558개 업소가 지정됐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4-02-2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