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군청 뱃길출장 문제 해소
“어휴, 예전에는 군청에서 열리는 회의에 제대로 못 갔어요. 섬에서 뱃길로 가다 보니 기상 조건 탓에 그런 일이 허다했죠.”오가는 데 불편한 섬 지역을 끼고 있는 자방자치단체들에는 영상회의가 효자 노릇을 한다. 최근 박준영(앞줄 오른쪽) 전남도지사가 화면에 나온 부안군수 등과 영상회의를 하고 있다. 이어 각 군수들은 산하 면장, 읍장들과 영상으로 만난다. 전남도 제공 |
전남 신안군 흑산도 면사무소에서 92.5㎞ 떨어진 신안군청까지 가는 데 걸리는 뱃길 시간은 2시간여. 결코 짧지 않은 거리다. 안원준(56) 흑산면 부면장은 “3~4년 전만 해도 읍·면 직원이 참석하는 군청 회의가 10번 있다고 하면 8차례는 뱃길이 험해 불참하기 일쑤였다”면서 “목포에서 흑산도로 돌아오는 배도 낮에 일찌감치 끊기는 탓에 면사무소 직원이 한 번 출장 가면 뭍에서 하루 묵을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경비도 많이 들고, 다들 출장 가는 걸 꺼렸다”고 덧붙였다.
|
지방자치단체들 사이에서도 영상회의 이용률이 늘고 있다. 25일 안전행정부가 지난해 지자체 영상회의 실적을 처음으로 집계한 결과, 전국에서 총 1082건이 열린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회의를 가장 많이 활용한 곳은 전남도로 총 442회를 열었다. 경기도가 159회로 그다음으로 많았고, 전북도가 93회, 강원도가 76회로 뒤를 이었다. 이들 4곳의 영상회의 횟수가 전체의 71.1%를 차지한다.
반면 서울시를 비롯한 특별·광역시 8곳에서 열린 영상회의는 총 131회로 12.1%에 불과했다. 안행부 관계자는 “전남도, 강원도 등은 섬 또는 산악 지형이 많은 곳이고, 그에 비해 특별·광역시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행정구역 면적이 좁아 자치구와의 영상회의를 많이 활용할 이유가 적기 때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광주시는 지난해 영상회의를 한 차례도 열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시 관계자는 “자치구 8곳에서 시청 건물로 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 차량으로 20분 남짓이다 보니 굳이 영상회의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분위기”라면서 “시청 내 각 부서에도 청사에 있는 영상회의실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지만, 지난해 사용 신청 건수가 하나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안행부는 올해 중앙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주요 회의 가운데 영상회의 개최 비중을 지난해 30%에서 40~50%까지 늘려줄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지자체에는 영상회의 활용도를 전보다 높여줄 것만을 당부했다. 영상회의 실적 편차가 지역별로 커 개최율을 일괄적으로 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안행부 관계자는 “지자체에는 구체적인 수치를 들어 권고하지 않았지만 업무 효율성 제고 차원에서 지자체별로 영상회의 활성화 계획을 수립해 실행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4-03-2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