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 대상 기획총괄과장 등 2명 관행 깨고 검증 과정 거치며 탈락
“왜 뒤바뀌었을까. 기준을 알 수 없다.” “몸 버리고 일해 봐야 무슨 소용이 있나.”
|
총리실이 청와대에 올렸던 3명의 국장 승진 대상자 1~3순위자 가운데 2명이 관행을 깨고 검증 과정에서 미끄러진 탓이다. 당초 총리실은 업무 부담과 조직 기여도가 큰 기획총괄과장과 사회정책총괄과장을 승진 대상자에 포함했다. 업무 능력과 성과도 손색없었고 내부에서도 이견이 없었다.
그러나 “승진 대상자로 올린 3명 모두가 한 지역(전북) 출신이어서 청와대가 제동을 걸었다”는 소문이 돌았다. 밀려난 2명을 대신해 승진한 ‘후순위 2명’은 총 9명의 승진 후보 중 나이가 많은 편에 속하고 행정시험 35회와 38회 출신이다. 출신지는 대구와 경남이다.
내부에서는 “총리실 의사는 무시되고 나이와 지역 균형을 맞춘 안정형 인사다”, “국무조정실장과 차관들이 그렇게까지 일한 부하조차 챙기지 못한다면 누가 일하고 따르겠나”, “우리 장관님(국무조정실장)이 힘이 없었구나”라는 말이 나온다. 한 고위 관계자는 “할 수 있는 게 없었다”고 했고, 인사담당 관계자는 “요즘 각 부처에서 올린 인사가 위(청와대)에 가서 많이 바뀌고 있다”면서 총리실만의 문제가 아님을 강조했다.
이에 따라 범부처적 현안·갈등을 조정하는 상위 부처로서의 위상을 고려할 때 총리실 의사와 입장을 배려해야 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승진에서 탈락한 기획총괄과장은 총리실 선임과장으로 늘 승진 ‘0순위’로 꼽혔다. 복지, 노동 등 온갖 갈등 현안을 다루는 사회정책총괄과장도 일 많은 궂은 자리여서 늘 승진 ‘1순위’다. 총리실은 이번 인사에서 5명을 부이사관으로, 7명을 서기관으로 승진시켰지만 조직은 술렁이고 분위기는 가라앉았다.
또 부이사관 승진자 가운데 내부에서는 의외의 대상으로 여기는 인사도 끼어 있어 ‘챙겨주기’라는 인식도 있는 눈치다.
아울러 정부 첫해 규제 업무를 맡으며 고생한 규제실 과장 두 명은 한직으로 밀려났다는 지적도 있다. 그나마 국장 승진자 3명은 그동안 묵묵하게 일해 왔고 조직 친화도가 높은 호감형이어서 주변 반발을 무마했다.
각각 청와대 근무와 국토교통부 파견을 마치고 복귀한 유승표, 이동훈 과장 등을 비롯한 총리실 간판급을 경제규제심사 과장 등으로 규제실에 집중시킨 것도 이번 인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특징이다. 앞으로의 총리실 역점 사업과 업무 방향을 가늠케 한다.
세종 이석우 선임기자 jun88@seoul.co.kr
2014-03-3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